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나는 "노는" 것을 참 좋아한다. 

스마트폰 게임뿐 아니라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을 즐겨한다. 마누라에게 등짝 맞아가며 레고와 각종 애니메이션 피규어를 사모은다. 슈퍼히어로물은 사족을 못쓴다. 마블 영화는 무슨 일이 있어도 놓치지 않고 챙겨본다. 책은 경영/경제에 관련된 책들도 보지만 추리/SF/서스펜서라면 밤을 새고 읽어제낀다. 

 

얼마 전에 동료들과 회의를 할 때다. 회의를 리드하다가 자료를 볼 필요가 있어 랩탑을 프로젝터에 연결했다. 마침 스마트폰이 연결되서 그 안에 있는 사진들이 다 보였다. 레고 사진, 슈퍼히어로 사진, 피규어 사진 등. 

"와, 저게 다 뭐에요? 아이들 사주시는 건가요?"

"아니... 다 내껀데?"

"본인을 위해서 사셨다구요? 헐...", "요즘 안 바쁘신가보다" 

......

항상 일 관련된 책만 읽고, 운동은 골프를 하고, 술 마시면서 업무 얘기를 해야 회사 업무에 진지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어린 왕자 도입부에 나오는 주인공의 그림이다. 어른들은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의 그림을 대부분 모자라고 착각했다. 그리고 이런 쓸데 없는 그림 따위 그만 그리고 지리학이나 역사, 산수, 문법에 관심을 가지라고 충고했다.  책에서는 이렇게 얘기한다.

"어딘가 영리해 보이는 어른을 만나게 되면 나는 항상 지니고 다니던 내 그림 제 1호를 보여주며 슬쩍 떠보곤 했다. 그 사람이 뭔가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싶었다. 하지만 그 사람은 하나같이 "이거 모자잖아"라고 대답했다. 그럴 때는 보아 구렁이라든가 원시림, 별에 대한 이야기는 아예 꺼내지도 않았다. 그냥 그 사람의 수준에 맞게 브리지 게임이나 골프, 정치와 넥타이 이야기를 늘어놓았다. 그러면 그 어른은 분별있는 사람을 알게 되었다며 아주 좋아했다."

 

Homo Ludens. Playing man. 유희의 인간.

네덜란드의 역사가이자 문화 이론가인 요한 후이징가가 1938년에 펴낸 책이다. 노는 것이 문화의 중요한 요소라고 얘기했다. 

왜 노는 것, 유희가 중요할까? 

요한 후이징가는 유희의 5가지 특징을 얘기했다. 그 중에서 특히 중요한 세 가지 -  무엇보다 유희는 자유로워야 하고, 일상 생활과 달라야 하고, 이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어야 한다. 이 자유로움이 일하고 돈을 벌어야 하는 족쇄를 풀고 자유로운 생각을 하게 돕는다. 

 

뉴튼은 떨어지는 사과에서 만유인력의 개념을 깨달았다. 아르키메데스는 목욕탕에서 "유레카"하며 덜렁거리며 뛰쳐나왔고. 이를 극적인 스토리를 만들기 위해서 만들어낸 이야기일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하지만 거의 99% 사실일 것이라 믿는다.

아이디어는 생각지 못한 곳에서 온다. 골똘히 고민하다가 잠시 생각을 놓고 다른 일을 하거나 멍하니 있다가 아! 하고 해결책이나 아이디어를 생각한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다. 

 

재미로 하는 유희가 거꾸로 일에 도움을 주는 경우도 많다.

레고를 이용한 비즈니스 설명 장표

몇 년 전에 한 기업 임원들에게 기업 혁신에 대한 발표 자료를 만들었다. 그 중의 한 장이다.

대량 생산을 하는 히트상품의 중요성, 그리고 동시에 각 고객에게 맞춤식 제안을 하는 오퍼링도 필요하다는 얘기를 해야 하는 상황. 고민 끝에 기존의 복잡한 장표 대신에 내가 좋아하는 레고의 예를 들면서 쉽게 설명했다. (쉽게 보이는 한 장의 장표지만, 이 한 장이면 기업에서의 프로세스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두 가지 옵션 Make To Order와 Make To Stock 의 자세한 설명까지도 나아갈 수 있다.) 

레고를 잘 모르는 진지한 나이드신 분들이 많아서 기대한 만큼의 효과는 나지 않았다... (긁적)

키덜트족이나 오타쿠가 일상 용어가 되면서 예전보다는 "노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줄어들긴 했다. 그럼에도 아직도 일 이외의 다른 것을 하는 사람은 뭔가 성실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시각도 여전히 우세하다. 

나이가 들을 수록 일과 관련없는 소설을 읽거나 게임을 하고 있으면 왠지 모를 죄책감과 불안감도 든다. 이러고 있어도 되는 걸까?

 

페이스북이나 기타 다른 혁신적인 글로벌 회사들은 업무의 10%는 업무와 상관없는 다른 일을 하라고 한다던가. 책을 읽거나 게임을 하거나 다른 산업을 들여다보거나. 여가와 유희가 결국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업무에 도움이 될 거라는 자신감의 발로인가 보다.

 

 

시민케이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시민케이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SK이노베이션

멈추지 않은 innovation으로 새로운 50년을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Exploring the Energy Frontiers 지난 50여 년 동안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선도해 온 SK이노베이션은 일찌감치 해외 자원개발 분야에 진출하여 베트남, 페루, 미국 등지에서 사업을 잇달아 성공시킴으로써 세계 자원개발시장에서 주목 받는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오늘도 세계 11개국 14개 광구에서 세계적 에너지기업들과 경쟁하며 에너지자립의 꿈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Pioneering the World of Opportunities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은 신에너지 분야에서 세계 일류 수준의 Technology Leadership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에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와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본격적인 세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습니다. Developing Future Flagship Technologies 세계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바다 속이나 땅 밑에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과 이를 저감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재생산하는 CCU (Carbon Conversion & Utilization) 기술 개발로 지구온난화 방지 및 신소재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개척하는 기술, SK이노베이션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Sharing Success and Delivering Happiness SK이노베이션은 세상의 행복 극대화를 위해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사회공헌활동은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도 사회구성원이라는 인식 아래 지속적인 의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단순한 기부나 일회성 지원이 아닌 근본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고민과, 이에 대한 해결노력을 통해 사회변화와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