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로이드선급협회아시아

로이드 선급 (Lloyd’s Register)이라는 이름의 기원은 해상활동이 활발했던 17세기 영국 런던 Thames강 유역의 한 커피숍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Edward Lloyd가 소유한 이 Lloyd’s Coffee House는 그 당시 해운활동에 관련 있는 화주, 선주, 해운관련보험업자 및 이와 관련 있는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고 왕래가 잦았던 곳이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주인인 Edward Lloyd가 다양한 계층의 고객들로부터 수집한 해운관련정보들을 편집하고 인쇄해서 찾아오는 고객들에게 회람을 시켜 정보의 교환이 용이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커피숍의 주인이 죽게 되고 커피숍이 문을 닫게 되자 이곳에 모였던 고객들 중심으로 지금으로부터 260여년전인 1760년에 Register Society를 형성하게 되는 데 이것이 나중에 그 커피숍의 이름을 따서 Lloyd’s Register of Shipping이 되었으며 최근에 와서 사업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그 이름을 Lloyd’s Register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로이드 선급은 다른 선급들의 모태가 되었으며 로이드 선급을 필두로 1828년에는 프랑스선급인 BV, 1862년에는 미국선급인 ABS, 1864년에는 노르웨이선급인 DNV등이 생겨났으며 1960년에는 비로소 한국에서도 한국선급(KR)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로이드 선급은 다른 선급들과 함께 일반적인 통칭으로서 Classification Society, 또는 이를 줄여서 Class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태생적으로 보험업자와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되는 데 기인합니다. 즉 선박보험에 부보하기 위해서 선박에 대한 등급 (Classification)을 정하고 이를 선명록 (Register Book)에 등재함으로써 보험과 용선에 대한 기본정보로써 활용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1764년 초창기에 선박의 등급은 A, E, I, O, U (선체) 와 G, M, B (의장품)로 정하여 최고등급은 AG, 최하등급은 UB와 같이 하였으나 이는 곧 A, B, C와 1, 2, 3으로 간단화 되고 급기야는 ‘A1’이 항해 가능성 유지를 위한 하나의 최소기준등급으로 정해지게 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초창기에 선박의 등급을 위한 검사를 위해서 퇴역선장이나 목수등과 같은 비전문가들을 고용하여 그들의 개인경험을 통한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게 되었고 명시된 규정도 없어서 검사 및 등급결정에 있어서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힘들었으며 이는 관련 이해당사자간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834년 로이드 선급은 처음으로 선박의 분류와 검사에 관한 규정을 출판하였고 1840년경에는 기 규정된 법규에 의해 선박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당시 규정에 적합하게 검사되었던 배가 15,000척에 이르기도 하였습니다.

1852년 첫 해외지사였던 캐나다를 필두로 그 후 유럽각국과 전세계에 걸쳐 해외지사들이 생겨났으며, 1869년에는Joseph Tucker라는 검사관을 상하이에 파견하면서 비로소 그 영역을 아시아에까지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또 세계 제 1, 2차 대전을 겪으면서 최초의 해상구조물인 Adma Enterprise의 경험 등 서비스영역에 대한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선박들이 출현하여 선급기술의 다양성을 이끌면서 오늘의 로이드 선급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부산광역시 중구 대교로 119(중앙동 6가 2), CJ대한통운빌딩 10층  로이드선급협회아시아  
부산광역시 중구 대교로 119(중앙동 6가 2), CJ대한통운빌딩 10층로이드선급협회아시아  
로이드 선급 (Lloyd’s Register)이라는 이름의 기원은 해상활동이 활발했던 17세기 영국 런던 Thames강 유역의 한 커피숍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Edward Lloyd가 소유한 이 Lloyd’s Coffee House는 그 당시 해운활동에 관련 있는 화주, 선주, 해운관련보험업자 및 이와 관련 있는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고 왕래가 잦았던 곳이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주인인 Edward Lloyd가 다양한 계층의 고객들로부터 수집한 해운관련정보들을 편집하고 인쇄해서 찾아오는 고객들에게 회람을 시켜 정보의 교환이 용이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커피숍의 주인이 죽게 되고 커피숍이 문을 닫게 되자 이곳에 모였던 고객들 중심으로 지금으로부터 260여년전인 1760년에 Register Society를 형성하게 되는 데 이것이 나중에 그 커피숍의 이름을 따서 Lloyd’s Register of Shipping이 되었으며 최근에 와서 사업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그 이름을 Lloyd’s Register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로이드 선급은 다른 선급들의 모태가 되었으며 로이드 선급을 필두로 1828년에는 프랑스선급인 BV, 1862년에는 미국선급인 ABS, 1864년에는 노르웨이선급인 DNV등이 생겨났으며 1960년에는 비로소 한국에서도 한국선급(KR)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로이드 선급은 다른 선급들과 함께 일반적인 통칭으로서 Classification Society, 또는 이를 줄여서 Class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태생적으로 보험업자와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되는 데 기인합니다. 즉 선박보험에 부보하기 위해서 선박에 대한 등급 (Classification)을 정하고 이를 선명록 (Register Book)에 등재함으로써 보험과 용선에 대한 기본정보로써 활용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1764년 초창기에 선박의 등급은 A, E, I, O, U (선체) 와 G, M, B (의장품)로 정하여 최고등급은 AG, 최하등급은 UB와 같이 하였으나 이는 곧 A, B, C와 1, 2, 3으로 간단화 되고 급기야는 ‘A1’이 항해 가능성 유지를 위한 하나의 최소기준등급으로 정해지게 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초창기에 선박의 등급을 위한 검사를 위해서 퇴역선장이나 목수등과 같은 비전문가들을 고용하여 그들의 개인경험을 통한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게 되었고 명시된 규정도 없어서 검사 및 등급결정에 있어서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힘들었으며 이는 관련 이해당사자간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834년 로이드 선급은 처음으로 선박의 분류와 검사에 관한 규정을 출판하였고 1840년경에는 기 규정된 법규에 의해 선박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당시 규정에 적합하게 검사되었던 배가 15,000척에 이르기도 하였습니다.

1852년 첫 해외지사였던 캐나다를 필두로 그 후 유럽각국과 전세계에 걸쳐 해외지사들이 생겨났으며, 1869년에는Joseph Tucker라는 검사관을 상하이에 파견하면서 비로소 그 영역을 아시아에까지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또 세계 제 1, 2차 대전을 겪으면서 최초의 해상구조물인 Adma Enterprise의 경험 등 서비스영역에 대한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선박들이 출현하여 선급기술의 다양성을 이끌면서 오늘의 로이드 선급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지원분야

모집부문
Service Delivery Support -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 채용
업무내용
Job Description
- Coordinate and support EPC project.
- Prioritise, plan and complete client service delivery tasks in line with global and local business requirements. Includes liaising with clients, dealing with queries and proactively resolving service issues within agreed deadlines/targets.
- Build and maintain good client relationships through proactive communication and action to fulfil client expectations.
- Identify and refer potential client complaints and opportunities for new business.
- Liaise with and provide support to other team members, departments and offices, as may be required.
- Develop a good understanding of EPC project, services, systems and processes on an on-going basis.
- Identify and suggest improvements to service delivery processes and procedures.
- Actively contribute to team meetings and client service initiatives.
- Carry out any other task within the Service Deliver Support Team, at the request of the line managers.
- Assess the risks and work in a safe manner at all times, robustly implementing health and safety rules, instructions and systems and refuse to undertake work that compromises your safety or health.
- Report in a timely manner all incidents including near miss and safety observations (NMSO), accidents and injuries and raise any health and safety concerns with your line manager.

고용형태
계약직

지원 자격

직무관련
Job Requirements
- Bachelor degree or equivalent
- Good verbal and written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and local language, as applicable),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business language.
- Experience of working in a business to business client service environment, preferably dealing with business clients. (Optional)
- Polite and approachable manner.
- Using own initiative able to prioritise and work on multiple tasks to tight deadlines.
- High degree of accuracy.
- Able to work as part of a team to contribute to achieving departmental/business objectives.
- Computer literate in MS Office (Excel, Word & Outlook).

지원서접수

지원방법
제출서류 : 영문이력서, 영문자기소개서
접수기간
03월 26일 09:00 ~ 04월 04일 23:59
* 마감일은 기업의 사정으로 인해 조기 마감 또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접수기간
03월 26일 09:00 시작
04월 04일 23:59 마감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