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때는 바야흐로 2014 년, 나는 홍콩 Associated Press (AP)에서 뉴스 인턴을 하고 있었다. 

 

AP는 세계적인 통신사 (Wire  Service)인데 (핸드폰 통신사 아닙니다) 우리나라 연합뉴스 같은 곳이라고 보면 된다. 통신사는 가장 세계에 특파원이 많고 제일 빠르게 소식을 전한다. 세계 모든 나라에 언론사들이 사람을 보내는 것은 인력낭비고 재정적으로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AP나 우리가 익숙한 로이터 통신 (Reuters), 블룸버그 (Bloomberg) 등 통신사들이 제일 먼저 취재를 하고 구독료를 받으면서 뉴스를 다른 언론사들에게 제공한다.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2013년 말부터 인턴을 시작했는데 무급에다가 '상'급의 노동강도, 거기다가 호랭이 여기자님을 상사로 맞이한 결과, 나의 다크서클은 하루가 다르게 짙어졌다. 일주일에 3~4번은 홍콩 Wanchai에 있는 회사로 1시에 학교 수업을 끝내자마자 곧장 향했는데 안 바쁠 때는 7시나 8시, 바쁠 때는 새벽 2시, 심지어 새벽 5시에도 퇴근한 적이 있었다. 

 

AP통신에 처음 인턴으로 들어왔을 때는 Shotlist만 주구장창 썼다. Shotlist란 찍어온 영상을 샷, 즉 화면별로 설명하는 리스트다. 상당히 노가다인게 카메라 앵글이나 사람이 바뀔 때마다 일일이 손으로 적고 내용을 설명해야 한다. 그다음에는 기사에 도전했다. 아, 참고로 나는 연예부 뉴스 인턴이었는데 첫 기사는 트랜스포머 4에 관해서 쓴 걸로 기억난다. 그때 마이클 베이 감독이 홍콩에 방문했는데 칼빵?을 맞을 뻔했다는 내용으로 기억한다. 

 

AP는 따로 정규직으로 고용한 카메라맨이 없다 (요즘 다 외신들이 이렇다;; 정규직은커녕 최대한 프리랜서로 아웃소싱 하려고 한다. 한국도 비슷하다고 들었다). 나랑 취재 때마다 동행한 아방 (abon)이라는 홍콩 아저씨도 취재당 홍콩달러 1000불 (15만 원)을 받고 일하는 프리랜서였다. 

 

보스님은 가끔씩 아방이 찍어온 비디오에 대해서 툴툴 거리셨다. "이건 나도 찍겠다" "이렇게 찍으면 안 되지" "아, 너무 이거 찍고 돈을 너무 많이 받는 거 아니야?!"

 

첫 인턴쉽인 만큼 열정이 냄비에 달궈진 카레처럼 펄펄 끓던 나는 보스님에게 당돌하게 제안했다.

"제가 한번 찍어오겠습니다!" 

 

몇 번의 실패와 카메라 메모리 낭비 끝에 나는 소녀시대 콘서트부터 홍콩 스타 주윤발, 곽부성 (Aaron Kwok)등 이 참여하는 이벤트들을 혼자 촬영했다. 내 키만 한 삼각대와 목숨보다 비싸 보이는 촬영용 비디오카메라, 라이트, 그리고 내 책가방까지 질질 끌면서 촬영장에 가면 온 몸은 이미 땀으로 젖었다.

 

하지만 촬영보다 더 어려운 것은 유일한 한국인인 나를 향한 텃세였다.

내 앞에서 광동어로 내 이야기를 하기는 부지기수, 내가 인사를 해도 싸늘하게 쳐다보는 홍콩 연예부 기자들과 영어로 소통이 안 되는 카메라 맨들 사이에서 나는 항상 혼자였다. 촬영을 할려고 하면 아저씨들과 눈치싸움에 자리싸움까지 해야 하니 항상 나는 본의 아니게  움츠러들었지만 그래도 철판을 깔고 자리를 잡았다. 

 

 

그 날은 이종석이 H*go Boss  (휴*보스)의 새로운 매장 오프닝 행사에 참석하러 홍콩에 온다고 했다. 

보님:  "사람들 정말 많을 거야. 정신 빠짝 차리고. Are you sure you can do this?

나:  "Of course."

 

 

휴*보스 매장에서 잠깐 연예인들이 매장을 둘러본 다음에 홍콩 금융의 중심지인 Central에 위치한 항구에서 레드카펫 행사와 연예인들과 VIP 들을 위한 파티까지 열린다고 했다.

 

참고로 한국 연예인들은 홍콩에서 초초초초초 A급, VIP 대우를 받는다. 빅뱅 콘서트는 몇 분만에 매진되고 레드카펫에서도 한국 연예인들은 항상 마지막에 들어온다 (그리고 자주 늦는다ㅎㅎ). 

 

이종석도 매장 인터뷰는 스케줄 때문에 건너뛰고 항구에서 레드카펫 행사와 파티만 참석하다고 했다. 그래서 매장에서 촬영 후 곧바로 항구로 갔다. 항구는 (이종석) 팬들로 꽉 차 있어서 정신이 없었다. 미국 할리우드 배우도 몇 왔는데 (기억은 잘 안남) 사람들의 시선은 이종석이 언제 오나 문에만 향해 있었다. 

 

AP는 외신이기 때문에 이벤트나 기자회견장에서도 항상 제일 먼저 질문할 기회를 받는다. 보통 기자회견을 하면 한 명이 여러 언론사의 마이크를 들고 서 있고 (비디오 참고) 다른 기자들이 서서 질문을 물어보는데 보통 그 한 명은 나였다. 

 

 

이층에 서있던 기자들이 갑자기 계단 쪽으로 우르르 향했다. 자리를 뺏길까 봐 나는 그냥 최대한 레드카펫 주위에서 서 있었다. 이종석이 나타나자 갑자기 연예부 기자들이 팬들보다 더 흥분해서 레드카펫 근처로 다 돌진했다. 카메라 맨, 기자들, 그리고 홍보 담당 언니들까지 엉켜서 현장은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아수라장이었다.

 

서로 본의 아니게 밀치기가 반복되던  그때, 내 앞에 있던 한 홍콩 여자가 팔꿈치를 흔들면서 휙 돌아섰다.

홍콩 연예부 기자: DON'T TOUCH ME. (건들지 마)

나: Sorry  (미안)............ [안 밀었는데 내가 ㅠㅠ]

 

누가 자기를 다시 밀쳤는지 홍콩 연예부 기자는 눈을 치켜뜨고 다시 돌아서서 소리 질렀다.

기자: I SAID, DON'T. PUSH. ME. (내가 말했지. 건들지 말라고.)

 

하아, 슬슬 김이 올라왔다.

나:  "I said I didn't push you." (안 밀었다고요)

 

말대답(?)을한 내가 기가 막혔는 지 여자는 고래고래 소리 지르면서 이 "hanguoren (한국인)"은 뭐냐고 소리 질렀다. 최소 20명 정도 되는 카메라맨들과 현장에 있는 수 많은 눈들이 내게 쏠렸고 아방 (카메라 맨)은 내 시선을 피했다. 나도 뒤지지 않으려고 입술을 꼭 깨물고 여자를 쳐다봤다. 여자는 기가 막힌 듯 홍보팀과 경호원들에게 가서 나를 쫓아내라는 손짓을 했다. 하지만 AP통신 기자 자격으로 온 나한테 나가라고 할 사람은 없었다. 

 

갑자기 인터뷰가 시작되었다. 내가 평소처럼 마이크를 잡으려고 했더니 아방의 어린 부인이 휙 뺏어서 다른 동료에게 줬다. 질문을 하려고 원래 자리로 돌아가려고 했지만 고의인지 나는 어느새 인파 끝까지 밀리게 되었다. 순간 멘붕이 왔다. 아, 보스가 질문 꼭 물어보라고 했는데....

 

인터뷰는 계속 진행이 되었고 멀찍이 추방당한 내게 이종석의 목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

 

이종석의 답변을 통역자가 한국어에서 광둥어로 해석하고 있을 때, 나는 가만히 있는 이종석을 향해 냅다 소리를 질렀다.

 

"이종석 씨 향후 계획이 어떻게 되세요!"

 

"오, 한국분이세요?"

 

(끄덕끄덕)

 

그때 내 말을 무시하고 (못 알아들은 건지) 통역사가 "마지막 질문입니다" 하고 이종석한테 말했다.

 

 

이종석은 쫌 멈칫하더니

"아, 저 쪽분이 먼저 질문하셨는데" 하고 나를 가리켰다. 

그리고 향후 계획을 말하고 그것을 마지막 질문으로 (ㅎㅎ) 퇴장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이종석이 내 질문을 답해준지도 몰랐다. 하도 멀찌감치 떨어져서 얼굴도 잘 안보였기 때문이다.  

인터뷰가 끝난 뒤, 나는 홍콩 기자의 노여움과 주변의 웅성거림을 뒤로하고 항구를 침착하게 걸어나왔다. 그리고 바다가 보이는 한적한 벤치 앞에서 울음을 터뜨렸다. 

 

사무실에 밤 12시쯤 들어와서 비디오를 편집하려고 되돌려보니 이종석은 친절하게 내 질문에 대한 답을 해줬고 퇴장할 때는 나를 향해서 찡긋(!)까지 해줬다! (비디오 밑에 참고) 그것도 모르고 나는 나를 쳐다보고 나가는 이종석을 보면서 "아, 내 질문 대답도 안해준 나쁜 넘 ㅠㅠ" 하고 엄청 원망을 했다. 

비디오 출처 (Associated Press Hong Kong) 

 

 

비하인드 스토리: 알고 보니 그 홍콩 기자는 내 보스의 전직 동료였고 나는 "나댔다는" 이유로 한 달 간 취재를 금지당했다. "세상에는 취재보다 중요한 게 있어, 예를 들면 상황 파악?" 보스님은 나를 대신해서 그 기자에게 사과를 하셨다. "너무 열정만 앞서서는 안 돼." 

 

"그리고..." 보스가 난처한듯이 말하셨다.

"너도 느꼈겠지만... 촬영장에 혐한 감정이 존재하고 사람들이 그걸 너한테 푼거야. 한국 연예인들 맨날 늦고 너무 과잉 경호해서 홍콩 연예계 사람들은 다 취재하기 싫어해. 인기 많으니까 어쩔 수 없이 하는거지."

 

 

하지만 나는 내 질문에 대해서 아직도 후회를 하지 않는다. That was my duty, as a journalist. 

 

그리고, 결론은. 이종석님 감사합니다. 하트 뿅뿅 

 

 

Juwon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 

(주)트렌드메이커

Dinto 딘토 Dinto는 deeply into를 뜻하며 '깊이'에 대한 우리의 열망을 상징합니다. 깊이 없는 아름다움은 장식에 불과하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매 순간 감응하며 나만의 철학과 아름다움을 쌓아가는 여성을 찬미하며 고전문학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로 여성의 삶을 다채로이 채색하고자 합니다. 전과는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 그런 글처럼 딘토가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안목을 넓히고 격을 높여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핀 더 푸드 our phillosophy 배부른 영양결핍과 고달픈 자기관리에 지쳐버린 현대인들에게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당신의 삶을 가볍게 그리고 즐겁게 핀더푸드가 제안하는 건강한 다이어트&이너뷰티의 시작 our promise 더 간편한 더 맛있는 더 효과적인 경험을 위한 핀더푸드 내 몸을 위한 거니까, 자연주의 착한 성분으로 HACCP&GMP의 엄격한 품질관리로 다양하고 트렌디한 식이요법을 약속합니다. our vision 바쁜 일상 속, 더 이상의 수고를 보탤 필요는 없기에 우리가 당신의 예쁨과 멋짐,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더 확실하고, 더 맛있고, 더 간편한 제품개발을 위해 끝없이 연구합니다. 고된 자기관리에 지친 당신을 위해, 핀더푸드.

판매/유통/무역/도매/소매/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