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싱가포르의 KBS 같은 채널 뉴스 아시아 (Channel News Asia)에서 작년 여름에 인턴을 하면서 생긴 일이다.

 

뉴스 인턴 자리를 노렸던 나는 어찌된 영문인지 English Current Affairs 팀에 배치되었다.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프로덕션 팀인데 그 안에 프로그램별로 팀이 나뉘어 있다. 원래 온라인 비디오를 만드는 Transmedia팀에 갔어야 되는데 인턴이 너무 많다고 나는 "Days of Disaster"이라는 프로그램에 배치되었다. Days of Disaster (DoD)는 싱가포르에 지난 50년 동안 발생한 가장 최악의 자연재해, 그리고 사건 사고를 재 조명하는 다큐드라마다. 싱가포르 건국 50주년을 기념하는 다큐멘터리인만큼 예산도 제일 빵빵하고 제작 당시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내가 있었던 2014년은 싱가포르 건국 49년 째) 

 

첫날, 아침 일찍 배정을 받고 DoD 팀이 앉아있는 위치로 행했다. 다행히 조연출인 '렝간'이 피디들에게 내 소개를 해준다고 했다. 막상 가보니 피곤에 쩔어보이는 30대 초반 남자 한명만 어깨를 푹 숙이고 타이핑을 하고 있었다.

 

렝간: 헤이 유밍, 너네 인턴이야. 한국에서 왔어. 인사해. 

유밍 (피디): oh, hey. 안녕, 나는 유밍이야. 음... 웰컴. 

나: oh, hi! I...

 

내 소개가 채 끝나기도 전에 유밍은 휙 돌아서 타이핑을 하기 시작했다. 뭔가 시작이 싸~했다. 그리고 내 예감은 틀리지 않았다. 

 

인턴에게 쉴 새 없이 취재를 맡기고 자료조사를 시키는 다른 팀과는 다르게 우리 팀에서 나는 투명인간이었다. 

 


나: 아... 혹시 제가 뭐 할 거 있어요?

 

유밍 (피디): 아... 음... 없어.

제니스 (피디): 아! 점심 못 먹었는데! 나 토마토 두개, 양배추 세 개, 그리고 오뎅 세 개 (치즈 들어있는 것만!), 복쵸이 (bok choy) 다섯 개, 계란 두개로 해서 핫팟 (샤브샤브) 만들어다 줘!

톰 (피디): 어... 어? 아... 나 지금 나가는 길! 나중에 얘기하자!!!


 

맨날 일을 구걸하던 어느 날, 유밍이 웬일인지 나를 불렀다.

 

유밍: 너에게 매우 중요한 임무가 있어. 내일 촬영 때 나를 꼭 따라와

나: 넵! 

 

 

유밍과 나, 그리고 카메라맨 두 명이 향한 곳은 싱가포르 변두리에 위치한 한 공공 아파트였다 (HDB라고도 부르는데 싱가포르 주민 대다수가 정부 지원을 받는 공공 아파트에 산다). 집에 들어가보니 연세가 지긋하신 할아버지가 계셨다. 

 

유밍: 아, 이분은 Mr. Wong 이셔. 싱가포르에서 1960년도에 일어난 최악의 화재를 경험하신 분이야!

나: 아... 넵! 안녕하세요!

유밍: 네가 할 일은

 

 

(두둔 두둔)

 

 

유밍: 미스터 왕 얼굴이 카메라에 기름져 보이면  안 되니까 얼른 기름종이로 얼굴 닦아드리고 파우더 칠해.

 

나: 아.... 네...? 넵.

 

 

 

나는 내 개인 파우치를 꺼내서 (ㅠㅠ) 미스터 왕 얼굴의 기름을 기름종이로 꾹꾹 눌러낸 다음에 내 파우더로 (ㅠㅠ) 파우더 칠을 해드렸다. 

 

그 후로 본의아니게 지속된 나의 메이크업 서비스 덕분에 인턴이 끝날 때까지 몇 몇의 카메라맨들은 나를 한국에서 날아온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알았다....

 

 

 

그래도 외국 방송국에서 인턴을 해보겠다고 없는 돈을 탈탈 털어서 싱가포르로 날라오고 한국인 가정에서 입주과외까지 자처한 의지의 한국인! 인 나로서 방학 세 달을 분칠만 하면서 보낼 수 없었다. (참고로 싱가포르는 집값이 너무 비싸다. 월세가 살만 한 곳은 기본 80~100만 원 정도 한다. 그래서 영어 입주과외를 했는데 일주일에 12시간 수업하느라고 죽는 줄 알았다ㅠ)

 

다른 팀을 기웃기웃 거리면서 일감을 찾기 시작했다. 

 

"헤이 아밀리아! 아, 뭐라고? 한국어 번역? 오~케이. 그건 내가 전문이지" "아, 웨이핑. 그러니까 이 두 시간짜리 비디오를 다 스크립으로 받아 쓰라고? 당연히 되지~" "아, 라마단이니까 제가 한국인으로서 라마단 체험을 해보라고요? 네? 하루 종일 단식을 하고 물도 한 모금도 마시지 않아야 된다고요? 아, 그런데 촬영까지 병행하라고요? 아..... 네... 네! 당연히 되죠....." "아, 24시간 제보 핫라인을 제가 혼자 받으라고요? 아... 전화가 싱가포르랑 말레이시아 전역에서 오니까 새벽에도 받아야된다고요...? 아..... 아..네...네!"

다행히 나를 믿고 일을 주시는 피디님들이 늘어났고 자연스럽게 나는 일감에 눌려서 유밍과 예전처럼 자주 촬영 (메이크업 서비스)을 나가지 못했다. 

 

 

하루는 오랜만에 유밍이 나를 불렀다.

 

유밍: 내일은 정말 정말 중요한 인터뷰가 있어. 근데, 너 혹시 갈색 파우더 있니?

나: 아... 갈색? no...

유밍: 아, 그럼 하나 사와 내일 아침까지. 꼭!

나: 넵!

 

그 날도 일더미에 파묻였던 나는 시간 가는지도 모르고 리서치를 하고 있었다. 문득 시계를 보니 밤 8시, 아차 했다. 얼른 파우더 사러 가야 되는데.... 에이, 갈색 파우더니까 무스타파에 팔겠지. 거기 24시간 아니던가? (무스타파: 인도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엄청 큰 슈퍼마켓. 없는 게 없다는 소문이...) 

 

 

무스타파 (Mustafa)가 있는 리틀 인디아 (Little India)에 밤 9시 정도 도착하니 거리는 스산했다.

 

 

퇴근 일파는  사라진 지 오래고 담배를 피우는 인도 아저씨들만 곳곳에 서성거렸다. 빠른 발걸음으로 무스타파를 가보니....

 

이거 웬일... 왜 이러지... 나한테 왜 이러니....

 

 

그 날 무스타파는 닫혀있었다. 왜 그런지 아직까지 이유를 모른다. 시계를 보니 거의 10시가 다되어가고 있었다.

 

 

"사람들이 많은 관광지를 가야겠다... 거기는 있을 거야...."

 

얼른 마리나 베이 (Marina Bay)로 향했다 (참고로 마리나 베이는 한국의 ssangyong이 지었다!!!!) 

 

 

 

마리나 베이를 갔더니 그 주변에 화장품  가계는커녕 모든 쇼핑몰들까지 문을 다 닫았었다. 관광지 맞음...?

멘붕을 하기 시작했다. 안 그래도 내가 다른 팀과 일을 하는 것을 보고 유밍이 심기가 불편해서 나랑 말도 잘 안 했기 때문에 유밍이 시킨 일만큼은 완벽하게 하고 싶었다.

 

 

급하게 주변에 있는 호화스러운 이름 모를 호텔로 뛰어들어갔다.

 

그리고 프런트 데스크에 가서 무작정....

 

 

나: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온 유명한 메이크업 아티스트입니다. 지금 제 클라이언트를 내일 만나야 하는데 제가 깜빡하고 갈색 파우더를 안 가지고 왔네요! 혹시 여기 인도나 말레이시아 분이 일하시고 있으면 제가 돈을 드리고 그분의 파우더를 살 수 있을까요?"

 

프런트 데스크 언니들이 웅성거렸다. 

 

언니 1: 어떡하죠? 지금 없는 것 같아요...

언니 2: 무스타파 가보셨어요? 

나: 네...ㅠㅠ

 

결국 난 빈손으로 집에 돌아왔다. 집에 도착하니 거의 12시였고 7시 간 후에 촬영을 하러 출발해야 되는 상황. 방법이 없었다. 

 

 

혹시 쓸만한 게 없을까

 

내 파우치를 

열어보니.... 

열어보니.... 

열어보니....!

 

내 브론저 (bronzer)가 눈에 들어왔다. 남자들은 잘 모르겠지만 요렇게 (밑에 그림 참고- 출처: 아주 뉴스) 생긴 브론저는 얼굴이 입체적이고 가늘게 보이도록 음영을 주는 화장품이다. 

 

 

 

"어, 색이.. 어둡네... 근데 완전 갈색은 아닌데... 거의 어두운 오렌지 수준인데... 될까... 백인이면 티 정말 날 텐데 내일...?"

 

방법이 없었다. 기도를 했다. "제발... 인터뷰이가 백인만 아니길....."

 

 

다음 날, 평소와는 다르게 유밍이 정장을 입고 왔다. 카메라 맨들도 조금씩은 신경을 쓴 눈치였다. 아, 치마 입고 오기를 다행이다, 속으로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어제 갔던 마리나 베이와 가까운 엄청 큰 빌딩에 도착했다. 로펌과 금융 회사들이 잔뜩 입주한 빌딩이었다.

 

통유리인 미팅룸으로 안내원이 우리를 인도했다. 그리고 곧 풍채가 좋은 한 할아버지가 성큼성큼 걸어왔다.

익숙한 얼굴은 내 리서치에 자주 등장하셨던 싱가포르 전직 장관 Shunmugam Jayakumar이었다! 

 

그리고, 그는 인도인이었다 ㅎㅎ

 

 

촬영에 앞서 나는 아무렇지도 않은 채 파우치에서 내 브론저를 꺼내서 장관님 얼굴에 슥슥 분칠을 했다. 다행히 브론저의 누런 색은 장관님의 얼굴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동화되었다. 그리고 유밍은 뿌듯한 얼굴로 그 모습을 지켜보면서 한마디 했다. "아, 한국에서 온 제 인턴이에요. 메이크업을 도맡아하죠 저 대신, 허허."

 

촬영이 끝나고 유밍은 만족한 얼굴로 내 어깨를 툭 쳤다.

 

유밍: Thank you for the powder

나: (씩) You are welcome

 

 

 

Juwon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 

부킹닷컴 코리아

1996년 암스테르담에서 설립된 Booking.com은 소규모 스타트업으로 시작하여 전 세계 최대의 여행 e커머스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Booking Holdings Inc. (NASDAQ: BKNG) 그룹사인 Booking.com은 전 세계 70개국 198개 오피스에 17,00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br><br> Booking.com은 <b>‘온 세상 사람들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b>는 목표 아래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여행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기술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숙소 선택의 폭을 자랑하는 Booking.com을 통해 아파트, 휴가지 숙소, 비앤비부터 5성급 럭셔리 호텔, 트리하우스, 심지어는 이글루까지 다양한 숙소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Booking.com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사용 가능하며, 전 세계 70개 국가 및 지역에 위치한 여행지 143,171곳에서 29,068,070개의 숙박 옵션을 제공합니다. <br><br> Booking.com 플랫폼에서는 매일 1,550,000박 이상의 예약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Booking.com과 함께라면 출장, 휴가 등 여행 목적에 상관없이 원하는 숙소를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별도로 부과되는 예약 수수료는 없으며, 최저가 맞춤 정책을 통해 최상의 요금을 제공해드립니다. Booking.com 고객 지원팀을 통해 24시간 연중무휴, 40개 이상의 언어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 

플랫팜

주식회사 플랫팜은 2017년 인포뱅크로부터 시드라운드 투자 유치와 R&D 자금 연계를 기점으로, SBA 서울혁신챌린지에서 최우수상, 베트남 글로벌 컨퍼런스 SURF 컴피티션 우승을 하였습니다. 그 이듬해인 2018년에 삼성벤처투자로부터 전략 투자를 유치하여 지속적인 플랫폼 개발을 거듭하였고, 2019년 삼성전자와 기술 제휴를 통해 당사 이모티콘 플랫폼인 `모히톡(mojitok)` 서비스를 갤럭시 스마트폰에 연동하여 연 3억 대의 기기에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인 베트남 법인 Zookiz에서는 신한그룹 퓨처스랩의 프로그램 지원에 힘입어 베트남 최대 플랫폼 VNG zalo와의 파트너십 등 동남아시아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2020년 상반기에는 구글 <Tenor> 검색서비스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국제 AI학회 <ACL> SocialNLP 챌린지 1위, 2020 Kocca 스타트업콘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2021년에는 Facebook 그룹의 Whatsapp 메신저와 콘텐츠 공급 계약을 맺는 한 편, 동남아시아 최대 사무용품 전문 업체 Thien Long과 캐릭터 라이선스 계약을 맺으며 글로벌 마켓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올해까지 누적 투자액 50억원을 달성하며 높은 기술력과 디자인 상품성의 융합을 통해 세계 무대로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IT/정보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