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많은 사람들이 취업 시 네트워크, 즉 인맥이 중요하다는 말을 한다. 나도 그 조언을 참 많이 보고 들었다. 특히 해외에서 직장생활을 하려는 사람이라면, 해외 취업을 목표로 둔 사람이라면 네트워킹을 잘 하여 좋은 인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이다. 부정할 수 없다. 우리 집주인이신 한국분은 지인 추천제를 통해 2개의 IT 대기업과 면접을 보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심지어! 싱가포르에 갓 도착한 나 또한 지인 추천을 통해 내가 선망하던 거대한 다국적 기업의 파트장과 1:1 캐주얼 면접을 목전에 두고 있다. 말로만 들었던 '내부 추천'에 따른 서류전형 면제 -> 면접 전형으로 바로 길을 걷다니 어안이 벙벙했다. 더 긴장이 되었다. 내 친구의 이름에 먹칠하고 싶지 않기에. '어디서 그런 애를 추천했어? 아는 게 너무 없고 태도도 제대로 안 되어 있던데.'라는 말이 절대 나오지 않아야 하기에. 난 며칠간 약속도 취소하고 칩거 중이다. 떨어질 때 떨어지더라도 날 추천한 사람 망신살은 뻗치지 않게 해야지. 암.

 

 그런데 보면, 정말 잘 보면. '글로 배워' 잘 모르는 상태에서 수준 이하의 실수를 저지르는 사람이 있다. '글로 배웠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자 한다. 본성은 아니겠지.

 

그가 한 실수를 되짚어보자.

그도 안다. 많이 들었다. 네트워킹이, 인맥을 쌓는 것이, 좋은 사람을 알아두는 것이 추후 커리어 관리 및 새로운 나라에서 뿌리 내리고 살 때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다음 스텝? 온갖 곳에 나간다. MeetUp, 언어교환, Couch Surfing, 카페에서 말 걸기, 지하철에서 친해지기, 세미나 참석하기, 교회 등 온갖 종교적인 곳 참석하기, 파티 참여하기. 등등.

그리고 이 사람 저 사람에게 구직 중이라고 PR을 하고 다닌다. 어떤 직무를 구하느냐고 친절히 묻는 현지인에게 00 포지션을 구하고 있고, 00 경력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연락처를 교환한다. 그리고 연락을 주고 받는다. 가끔 만난다. 밥도 먹는다. 술도 마실 수도 있고, 시간을 함께 보낸다. 그러나 내게 직접적인 도움은 안 되는 것 같다. 빈말만이 허무하게 오갈 뿐이다. 

더욱 다급해진다. 이곳 저곳 쑤시고 다닌다. 도움의 손길을 요청한다고 말하고 다닌다. 자신이 얼마나 절박한 상황에 있는지, 얼마나 급한지 홍보하고 다니고 주변의 '좋은'(쓸만한, 도움이 될 만한) 사람을 소개해달라고 요구한다. 


 

나는 네트워킹이나 소셜라이징 전문가가 아니다. 사람들과 빨리 친해지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데 남들보다 시간이 덜 걸릴 뿐, 나도 적이 있고 내게 냉담한 사람들도 많이 봤다. 나도 구직 중이고 아직 갈길이 남았다. 그러나 여기서 지내며 당황스러웠던 모습, 내가 다 민망했던 상황들이 몇 있었다. 대부분 구직자들의 그런 절박한 PR이 어느 순간 현지인들이나 도움을 줄 만한 사람들의 눈에 먹잇감, 혹은 부정적인 요소로 비쳐지는 경우였다. 내가 다 오그라들던 그 순간이란.......

 

예의 없이 함부로 네트워킹을 하겠다고 나대면 안 되는 이유가 있다. 어느 정도 내공이 있는 사람들의 눈엔 그게 다 보이기 때문이다. 목적이 너무나 훤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에는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민망해진다.

 

 구직하겠다고 교회 이곳 저곳 옮겨 다니고, 일요일에 교회 두 세군데 다니는 한인도 있다고 들었다. 절박함은 아는데, 나도 답답하고 막막하니까 아는데, 진리를 구하기 위해 - 또 신을 접하고 마음을 씻고자 나가는 사람들에게는. 좀 무례한 것 아닌가? 종교 장소를 네트워킹으로 사용하기 딱 좋은 것은 인정하지만, 애시당초 목적이 너무 다른 것 아닌가? 그리고 현지 교회사람들은 이제 한인이 혼자 현지 교회에 나가면 '직업 소개 해달라고 온 건가?'라고 마음속으로 생각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다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언어 교환하자고 나가놓고선, 직장인이 아닌, 도움이 안되는 학생인 것 같자 서서히 연락을 줄여버린다. 슬그머니 연락 횟수를 줄여나가고, 읽고 답장하지 않고, 또 다른 사람을 찾아 나선다. 언어 교환하자며!

 

 '내가 가진 싱가포르 인맥들은 다 도움이 안돼. 내가 원하는 도움을 안 준단 말야.'

실제로 내가 들었던 말이다. 난 이 소리를 듣고 기함했다. 세상에. 사람을 만나는 것에 물론 어느 정도 각자의 목적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난 내 고등학교 친구들을 만날 때, 오늘 한번 재미지게 광대통증 올 때 까지 웃으러 가자- 라는 목적이 있다. 대학교 친구들을 만날 때는 오랜만이니까 사는 이야기나 들으면서 맛있는 것을 먹으러 가야지, 라는 마음을 먹고 가는 경우가 많고. 사실 대부분은 보고 싶어서 만난다. 궁금하니까. 

그런데 , 타국에서 현지인이나 외국인들을 만나며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지 안 되는지'의 기준을 가지고 재단하고 또 뒤에서 험담을 한다니? 굉장히 유아틱하고 자기중심적인 사고이며, 그들에게 느그들 도움 1도 안됨- 이라는 굉장히 무례한 얘기를 면전에서 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또한 그런 사고방식의 맹점 두 개가 있다. 

 

 첫번째. 그 사람이 누군가에게 직업을 소개받을 만큼의 '검증된 능력'이 본인에게 있는지는 자문해봤나? 안 지 얼마 되지도 않는 사람에게 누가 과연 자기 평판을 걸고 선뜻 소개를 해주거나 매칭을 해줄 수 있을까. 나같으면 못한다. 정말 그 사람에게 깊은 신뢰와 호감을 갖고 있거나 혹은 그 사람의 능력과 경력이 잘 맞는 다는 확신이 있지 않는 이상. 나는 모험하고 싶지 않다. 리스크를 대부분 회피하는 인간의 습성 상 모두 그럴 것이다.

 두번째. 관계의 유 불리를 따지는 사람은 매력 없다. 그런 비인간적인 모습과 매력없는 성정은 결국에는 밑천이 다 드러나기 마련이다. 얕은 인간관계 밖에 전전할 수 없는 셈이다. '진심은 통한다' 라고 했던가. 그 말을 100% 신뢰하진 않지만, 수많은 상황에서 진심은 통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한 사람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함, 진심보다 계산적인 야망과 욕망을 품고 있는 어린 20대라면? 어느 정도 사람들을 많이 만나본 사람은 그게 눈에 다 드러난다. 그럼 안 하느니만 못하다. 정말이다.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 일으킨다. 욕심만 있고 계산적인 사람-으로.

 

 좋은 네트워킹은 앞서 기술한 두가지 맹점을 반대로 뒤집어 생각하면 된다. 

검증된 능력을 갖춰라. 이 사람을 소개해줘도 내가 욕은 먹지 않겠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을 만큼 나만의 특별한 강점과 무기, 제대로 된 경력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성인군자까지는 아니어도 최소한  좋은 성품을 드러내라. 네가 도움을 받고 싶어하는 만큼, 다른 사람을 먼저 도와라. 네 상황에 사람들은 생각보다 관심이 없다. 아주 조금이라도 인간적인 인터랙션을 한 뒤, 구직자 신분이든 뭐든 밝혀라.다짜고짜 직업 구하고 있으니 도와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지마라.

 

 건강하고 유의미한 네트워킹은 사실 나와 상대방이 동등한 관계에 서 있음을 인지한 그 상황에서 출발한다. 내가 받기만 하는 상황이고 내가 뭔가 어필할 부분이 없다면, 나중에라도 내가 도움을 줄 부분이 없다면, 태도라도 좋아야한다고 생각한다. 무언가를 받을 걸 미리 계산하고 행동하지 말자. 누군가 그걸 캐치하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네트워킹 하고는 있는데 도움을 안 준다? 도움을 전혀 못 받는다? 구직 과정에서 아무도 도와주지 않아 힘이 든다? 인맥들이 다 마음에 안 든다? 

그렇게 원망하거나 슬퍼하기 전에, 왜 그들이 잘 모르는 당신에게 도움을 줘야 하는지 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자. 이미 한번이라도 그 고민을 해본 당신은 취업이 되든 안 되든 한층 성숙해져 있는 자신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가름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외국계 취업의 끝판왕_슈퍼취업 바로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