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구직활동을 하다 보면 여러 회사에 지원하게 됩니다. 서류에서 떨어지거나 면접까지 가기도 하죠. 그런데 지원 전/후의 이미지가 달라지는 회사들이 많습니다. 이 회사는 안 그럴 것 같았는데 실망을 하거나, 불합격했음에도 웃으면서 답변을 한 회사도 있었습니다. 차이점은 딱 하나였어요.

 

불합격 통보

 

대부분의 회사는 면접 전형은 합/불합격 통보를 합니다. 그런데 서류전형 불합격 여부에 대해서는 통보를 안 합니다.(대기업 제외) 도대체 왜 서류 불합격은 통보를 안 하는 걸까요?

 

여기 흥미로운 설문조사가 있습니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구직 경험자 819명의 61.8%는 탈락 통보를 받지 못했다고 대답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응답자는 해당 기업에 대해 부정적 인상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조건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채용 프로세스는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친다.

 

실제로 많은 인사 부서는 불합격 통보 여부를 하지 않습니다. 잡코리아가 인사담당자 530명에게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59.8%는 '안 한다'라고 대답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탈락 사유를 알려주기 어렵다'가 48% 였는데요. 구직자들이 원하는 건 불합격 여부이지, 사유가 아니지 않을까요?(문자 1건 발송에 필요한 비용은 10원)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규모가 작아도 실력으로 유명한 회사들은 많습니다. 그런데 채용 과정에서는 아쉬움이 남아요. 대부분 불합격 통보를 하지 않습니다. 사유를 물으면 보통 아래와 같은 답변을 하죠.

 

관리 인원에 비해 불합격자들이 너무 많아서 일일이 통보하기가 어렵습니다. 대기업들은 인사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지만 중소기업들은 그런 게 부족한 실정입니다. 통보를 하고 싶어도 제대로 하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인사팀이 따로 있는 회사는 규모가 적은 편이 아닙니다. 게다가 회사의 중역에 대기업 출신들이 있다면 고도화된 인사시스템을 도입할 수도 있죠. 당연히 인재들이 몰리겠네요. 그렇지 않은 규모의 회사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좋은 인재를 구하려면 발품을 팔아야겠죠.

 

 

 

구인구직 플랫폼에

불합격 여부 안내 항목을

만드는 건 어떨까?

 

서류전형의 결과 통보 여부를 알려준다고 하면 어떨까요? 구직자들은 주로 채용 정보를 사람인, 잡코리아, 잡플래닛에서 얻습니다. 여기 중 한 곳이라도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면 어떨까요. 저라면 그곳에서 채용정보를 검색할 것 같아요.

 

 

이유는 묻지도 않을게요.

우리의 시간은 소중해요.

불합격 여부만 알려줘요.

 

나 이제 취업 못하는 건 아니겠지

 

 

 

용진욱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용진욱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