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내가 사회 초년생이던 시절, 가깝게 지내는 후배님들 중에 취업을 준비하던 후배님들이 가끔 내게 묻고는 했던 말이다. 과연 직업선택을 함에 있어서 어떤 것이 더 좋은 선택인지에 대한 물음이었다.

 

잘하는 일 vs. 좋아하는 일

 

두 가지 모두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후배님들에게 내가 생각하는 직업선택 기준은 잘하는 일이라고 이야기한다. 

 

왜 잘하는 일을 선택해야 할까?

내가 생각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과연 밥줄로서의 지속 가능성이 있는가?이다. 조직 내에서 인정을 받아 승진을 하든 더 좋은 회사로 이직을 하든 잘하는 일을 해야 그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드시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이 일치하지는 않기 때문에 직업으로 (혹은 돈벌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면 잘하는 일을 택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그리고 좋아하는 일은 그저 취미로서 즐기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내 경우를 보면 초등학교(당시 국민학교) 시절부터 컴퓨터학원을 다니며 베이직 코딩을 배우면서 컴퓨터에 관심을 가졌고,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프리미어 같은 영상편집 프로그램에도 관심을 가졌었다. 그렇게 대학도 이 두 가지가 접목된 미디어학부에 진학을 했고, 컴퓨터학부 복수전공도 했다. 사실 학교를 다니면서도 코딩을 그렇게 못하는 편은 아니었다. 교내 소프트웨어 공모전 같은 곳에도 출품하고는 했으니, 중간 이상이었다는 생각은 한다. 밤새 코딩을 해도 나쁘지 않았으나, 직업선택에 있어서 내가 과연 앞으로 20년 이상을 코딩할 수 있을까라는 진지한 고민에 빠졌고, 프로그래밍을 좋아하지만 과감하게 버렸다. 

 

그리고는 학교에서 성적상으로 그나마 조금 나았던 방송 관련 일을 하게 되었다. 지금도 잘했다고 생각하는 건 방송 관련 일은 프리랜서로 일 할 수 있는 가능성도 프로그래머보다는 높다는 것도 있고, 코딩은 이제 간간히 취미로 할 수 있어 그리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저는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이 같아요!

물론 '저는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이 같아요.'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냉정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직업에 있어서 좋아하는 일을 다른 사람에 의해 컨트롤받아도 스트레스받지 않을 것인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좋아하고, 잘하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했다고 해서 본인이 생각하는 방향으로 업무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클라이언트 또는 상사의 방향에 따라가야 하는데, 가끔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택한 후배들 중에 스트레스받는 이유가 그러했다. 좋아하는 일을 선택했다면 외압에도 스트레스받지 않을 자신이 있어야 한다. 아니면 본인이 사업을 하면서 하고 싶은 일만 하는 것도 방법이다.

 

어쨌든 살다 보면 늘 마주하게 되는 선택의 기로에서 모든 선택은 자신이 하는 것이다.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면, 잘하는 일을 직업으로 택하고 좋아하는 일로 스트레스를 푸는 생활이 조금 더 낫지 않을까라는 개똥철학이다.

 

잘하는 일로 돈을 벌어 좋아하는 일을 하라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창의적 백수님 글 더 보러가기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플랫팜

주식회사 플랫팜은 2017년 인포뱅크로부터 시드라운드 투자 유치와 R&D 자금 연계를 기점으로, SBA 서울혁신챌린지에서 최우수상, 베트남 글로벌 컨퍼런스 SURF 컴피티션 우승을 하였습니다. 그 이듬해인 2018년에 삼성벤처투자로부터 전략 투자를 유치하여 지속적인 플랫폼 개발을 거듭하였고, 2019년 삼성전자와 기술 제휴를 통해 당사 이모티콘 플랫폼인 `모히톡(mojitok)` 서비스를 갤럭시 스마트폰에 연동하여 연 3억 대의 기기에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인 베트남 법인 Zookiz에서는 신한그룹 퓨처스랩의 프로그램 지원에 힘입어 베트남 최대 플랫폼 VNG zalo와의 파트너십 등 동남아시아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2020년 상반기에는 구글 <Tenor> 검색서비스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국제 AI학회 <ACL> SocialNLP 챌린지 1위, 2020 Kocca 스타트업콘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2021년에는 Facebook 그룹의 Whatsapp 메신저와 콘텐츠 공급 계약을 맺는 한 편, 동남아시아 최대 사무용품 전문 업체 Thien Long과 캐릭터 라이선스 계약을 맺으며 글로벌 마켓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올해까지 누적 투자액 50억원을 달성하며 높은 기술력과 디자인 상품성의 융합을 통해 세계 무대로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IT/정보통신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