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외국계 기업에서 필요한 영어 수준은 부서마다 그리고 직무마다 모두 다릅니다. 또한 해외 지사와 연관 되는 업무를 하는 사람은 영어를 쓸 일이 많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전혀 쓸 일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사로 보고를 하고 해외 지사와 교류가 필요한 매니저급 이상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이상 영어 능력이 꼭 필요합니다.
 
우연히 모 유명 취업 컨설턴트의 기사를 읽은 적이 있는데, '국내영업은 전혀 영어를 쓸 일이 없기 때문에 영어가 필요없다.'라고 하더군요. 필자의 경험상 그 말은 맞는 말이기도 하지만 틀린 말이기도 합니다. 필자는 외국계 기업의 국내영업 부서에서 B2B 세일즈를 하며 기업 고객들과 업무를 하고 있는데, 고객 모두가 한국 기업들이라 그들과는 전혀 영어를 쓰지 않습니다. 단, 저희가 취급하는 제품의 대부분이 해외 지사에서 들여 오는 품목들이라, 제품에 이슈가 발생하면 해당 제품의 supplier인 지사에 직접 연락해 문제해결을 합니다.
 
 
 
 
물론 국내 유관 부서를 통해 해외 지사와 소통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 유관 부서를 통해 해당 부서간 업무 협의를 하는 것이 공식적인 process line은 맞지만, 모든 것을 절차를 지키면서 하게 되면 업무가 원활하지 못하고 그만큼 시간이 걸려 고객의 요구에 맞추기 힘든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하여 유관 부서를 CC(메일 참조)로 하고 필자가 직접 나서 업무 처리를 하고, 이러면서 자연스럽게 해외 직원들과의 network가 형성되었습니다. 한 번 형성된 network는 또 다른 이슈가 발생했을 때, 이전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업무 처리가 되면서 그 힘을 발휘합니다. 또한 이러한 경험들이 하나 둘 쌓이고, network가 확대/강화되다 보면 어느새 나의 영역은 대한민국이 아닌 세계로 나가게 됩니다.
 
 
국내영업의 경우 굳이 영어를 하지 않아도 업무상 지장의 거의 없습니다. 한국 고객과 일하고 해외 지사와의 이슈는 유관 부서를 통해서 해결하면 되기 때문이죠. 더군다나 한국에서 생상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엔 그럴 과정을 거칠 일이 아예 없기 때문에 사실 영어를 쓸 일이 전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사에서 종종 한국 지사에 방문을 와 인사를 하게 된다거나 Sales 관련 미팅을 하게 된다면 어떨까요? 매니저를 앞에 두고 뒤에 숨어 있을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언제까지 가능할까요? 매니저 이상의 진급에 관심이 없다면 모르겠지만, 그 이상의 진급을 염두하고 있다면 반드시 영어를 익혀야 합니다. 그리고 국내에 Sales 조직만 있는 회사도 더러 있는데, 이런 경우 Sales팀이 직접 해외와 연락을 해야 하기 때문에 영어가 꼭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는 기본적으로 영어가 어느 정도 가능한 사람을 선호하지만, Sales 부서는 성과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영어가 부족하더라도 직무에만 적합하다면 뽑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입사 후 향후 커리어를 위해서라도 영어를 꼭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 신입 때는 영어를 못하더라도 큰 불편함은 없으나 후에는 기회의 차이로 이어지고, 결국 나의 커리어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것을 선택하는 것은 여러분의 몫이기도 합니다.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