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MBA 지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GMAT이다. GMAT 시험은 GMAC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 단순한 영어 시험이 아니다. MBA과정과 Finance Accounting 등의 석사 과정에서 필요한 학생의 논리력을 test하기 위한 시험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어를 잘하고 못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논리적인 사고방식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수리력을 확인하기 위한 Quantitative Analysis 능력도 test하게 된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Verbal과 Quantitative 부분을 어떻게 준비할지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1. Verbal

Verbal은 크게 SC, CR 그리고 RC의 세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진다. 이 세가지의 영역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GMAC에서 발행하고 있는 Preparation Book의 내용을 완전하게 파악하고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문제는 그 안에서 나오고 있다고 보면 된다. 

준비를 하면서 우선은 GMAT Prep을 가지고 학습을 하여야 한다. SC와 CR의 경우 모든 문제들을 완벽하게 자기것으로 소화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번 풀어보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3~5번 정도 GMAT Prep을 풀어보기 바란다. 그러면서 본인이 편안하게 접근이 가능한 문제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인이 풀기 어려운 묹문제들의 경우에는 별도로 노트에 정리를 하여 계속해서 읽어보기 바란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GMAT은 논리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지 영어 수준을 알아보기 위함이 아니다. 따라서, 모든 문제를 논리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SC의 경우 때로는 문법적으로 이상이 없는 문장이 오답인 경우가 있다. 이유는 논리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CR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Reasoning을 test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면 답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여야 한다. GMAT에서는 총 6가지의 논리를 CR 을 통하여 테스트 하게 된다. GMAT Prep을 풀면서 각 문제가 어떠한 논리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CR 문제에 대하여 정확하게 approach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많은 지원자들이 가장 힘겨워 하는 부분이 RC이다. 이유는 시간 부족과 문장을 읽고 해석하기가 어려운 전문 용어들이 많이 있다는 점이다. GMAT Prep을 풀어 나가면서 일단 GMAT에서 어떠한 부분을 RC에서 물어보는지 파악하여야 한다. 때로는 가장 적절한 단어를 채워 넣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CR 과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물어보기도 한다. 또한, 저자가 어떠한 관점에서 글을 쓰고 있는지도 물어본다. 중요한 점은 그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그 글을 읽고 이해하여야 하며, 그럴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적인 용어가 나오더라도 절대로 당황하지 말고, 그 글의 전체적을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면 RC의 문제를 풀어 나갈 수 있다.

SC와 CR은 앞에서 언급한 대로 여러 번 풀면서 반드시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고 본인이 오답이 발생하는 문제들을 메모하기 바란다. 그 문제가 물어보는 것이 무엇인지, 내가 왜 틀렸는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분석이 되어야 실전에서 문제를 풀어 나아갈 수가 있다.

또한, RC를 위해서는 많은 영어 지문을 읽으면서 GMAT Prep의 RC 질문들이 물어보는 것들에 대하여 고민을 하면서 읽어 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2. Quantitative

한국 사람들에게 Math 부분은 큰 어려움이 되지 않는다. 한국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는 낮은 난이도의 문제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GMAT에서 반을 차지하는 영역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Verbal에서 성적이 나와도 MBA 지원은 어렵기 때문이다. 

Math 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은 GMAT Prep이다. 기본적인 Math의 영역이 GMAT Prep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은 무조건 GMAT Prep을 먼저 풀어보아야 한다. 각 영역에서 어떠한 산술적인 논리를 물어보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GMAT Prep에는 우리가 중고등학교의 교과서 처럼 Math의 각영역에 대하여 정리가 되어 있는 것은 없다. 따라서, GMAT Prep을 풀어보고 별도로 수학공식과 개념에 대하여 정리를 하여야 한다.

역시 노트를 활용하여 공식과 개념을 정리하고 다시 한번 GMAT Prep을 풀어보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GMAT 시험은 Adaptive Test이다. 앞에 문제를 어떻게 풀었느냐에 따라 다음 문제가 결정이 난다. 앞 문제를 제대로 풀었을 때 뒤의 문제의 난이도가 더 높은 문제로, 제대로 풀지 못하면 쉬운 문제로 문제가 제시가 된다. 따라서, 문제를 풀면서 이번 시험은 너무 쉽다라고 판단이 되면 오히려 성적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혹시 본인이 문제를 풀면서 왜 이렇게 어려울까 라는 생각이 든다면 절대 당황하지 말고, 본인이 지금 시험을 제대로 잘 보고 있다라고 생각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시험에 임하기 바란다.






*해외 MBA 과정을 밟으려면 GMAT 시험이 필수인데요, 아래 링크를 통해 지원하시면, 50 USD를 할인해 드립니다!
'50달러 할인 바로 받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SK이노베이션

멈추지 않은 innovation으로 새로운 50년을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Exploring the Energy Frontiers 지난 50여 년 동안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선도해 온 SK이노베이션은 일찌감치 해외 자원개발 분야에 진출하여 베트남, 페루, 미국 등지에서 사업을 잇달아 성공시킴으로써 세계 자원개발시장에서 주목 받는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오늘도 세계 11개국 14개 광구에서 세계적 에너지기업들과 경쟁하며 에너지자립의 꿈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Pioneering the World of Opportunities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은 신에너지 분야에서 세계 일류 수준의 Technology Leadership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에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와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본격적인 세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습니다. Developing Future Flagship Technologies 세계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바다 속이나 땅 밑에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과 이를 저감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재생산하는 CCU (Carbon Conversion & Utilization) 기술 개발로 지구온난화 방지 및 신소재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개척하는 기술, SK이노베이션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Sharing Success and Delivering Happiness SK이노베이션은 세상의 행복 극대화를 위해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사회공헌활동은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도 사회구성원이라는 인식 아래 지속적인 의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단순한 기부나 일회성 지원이 아닌 근본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고민과, 이에 대한 해결노력을 통해 사회변화와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