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자기소개서 스토리텔링4 - 피할 수 있으면 즐겨라가 아니라 그냥 피하자

 

이제 글의 마지막입니다. 매우 좋습니다. 아쉽습니다. 

하지만, 헤어져야지요.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아니다. 피할 수 있으면 그냥 피하자.... 

사서 고생해야 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왜 사서 고생해야 하는지 이유가 중요합니다. 

 


4. 마지막 당부의 말

 

지어내기 vs (억지로)짜내기
우리 스스로를 쥐어짜고 있는 것은 아닐까?!

 

가장 피해야 할 두 행동입니다.
자소서를 쓰기 위해서 나오지도 않은 이야기를 위해 억지로 스스로에게 고통을 주면서 고름을 짜내고 있다면,
혹은 자소서를 쓰기 위해서 과거의 의미없는 경험을 의미있도록 포장하고 있다면, 

당장 그만두길 바랍니다.

아마도 읽는 사람이 그 글을 쓴 당신의 진심을 금방 알아차리게 될 것입니다. 그건 가짜니까요. 
물론 진실이라고 하여도, 진심이라고 하여도, 

진심을 어떤 방식으로 전달하느냐에 따라 그 글의 가치는 하늘과 땅 차이일테니 말입니다.
결국 내 진심을 적극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적나라하게 드러내야 합니다.

들어가고 싶다. 일하고 싶다가 아니라,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고 싶다. 왜냐하면~ 등의 Tone & Manner로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꾸며주는 나의 이야기가 필요합니다. 

끼워맞추기 식이면, 금방 들통난다 (기왕이면 북유럽 스타일로)

위의 내용은 지어낼 수 있습니다. 아니 그래야 합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이야기는 지어낼 수 없습니다. 
지어낸다고 하더라도 당장 들통이 날 것입니다.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좋지만, 억지로 끼워맞추기 식이라면 문제가 있습니다.

 


상처 받기 vs 상처 주기
원래 인생은 give & take

 

자기소개서를 쓰면서 자연스럽게 상처를 입게 됩니다. 
왜냐하면 당신의 자소서는 처음에 한 두번은 떨어질게 뻔하니까 말입니다.
아마도 혹은 운이 없어서 자소서에 담긴 당신의 진심을 알아차리지 못한거니까요. 
이 정도에 너무 상심하지 마세요. 어디에나 거절은 늘 있는 법입니다. 

여러번의 거절을 거치면서, 단단해 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쓰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작지 않은 실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생각보다 "스토리가 풍부하지 않아서...." 소위 쓸말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실망하지 마세요. 아니 상처받지 마세요. 

자신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나오는 겁니다. 

자신이 없는 것이 '자기 자신'이 아니라, 일부분 나의 직업적인 부분이니까요. 

 
그래서 자소서는 상처 주고받기 입니다. 
상처를 주는 것도 받는 것도 바로 나 자신으로 부터 시작하니까요. 
내가 상처를 덜 받기 위해서는 더더욱 진심과 정성을 담아서 적어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을 뚜렷하게 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진심이 향하는 곳이 내가 가고 싶은 '직장'이 아니라,

내가 하고 싶은 '일'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직장에 매달리기 보다는 

내가 하고 있는 '일=직업'에 매진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Eden Kim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