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맞춤법에 대한 글을 쓸지 말지 꽤 고민을 했습니다. 우선은 제가 맞춤법 전문가(?)가 아니기도 하고요, 맞춤법 콘텐츠는 잠깐만 검색해봐도 수만 개가 나오니까요.
또, 형식보다는 담고 있는 내용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강력한 맞춤법 빌런을 만나면 이 생각이 흔들리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을 쓰자고 마음먹은 건, 어쨌든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거란 확신 때문입니다.


그간 글 쓰는 직무를 해오면서 이놈의(?) 맞춤법이 사람 여간 귀찮게 한단 걸 몸소 깨달았어요.
개인 SNS에 올리는 글이면 상관없지만 회사를 대신해 쓰는 글이니 맞춤법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잖아요.
맞춤법 검색에 쏟은 시간만도 얼마인지 모르겠으며 틀린 맞춤법 탓에 곤란했던 일도 많았습니다.
덕분에 지금은 웬만한 맞춤법은 통달한 지경이 되어 버렸습니다. 어간이니 어미니 의존명사니 활용형이니, 어려운 말 없이 쉽게 설명하는 능력도 생겼고요.


대단한 능력은 아니지만, 맞춤법 검색에 허비될 누군가의 시간을 절약해 주리라 생각하며 나누어 봅니다.



(주의)
다소 야매(?)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니, 감안해서 읽어 주세요. 혹시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 주세요.

(시작)

-


'되'는 '하'와 호환
'돼'는 '해'와 호환


‘되'냐 '돼'냐 헷갈릴 땐 그 자리에 '하'나 '해'를 넣어 보세요.
'하'일 때 더 자연스러우면 '되', '해'일 때 더 자연스러우면 '돼'가 맞습니다.



(예)
안 되겠니? → 안 해겠니? <<< 안 하겠니?
지금 시간 돼요? → 지금 시간 하요? <<< 지금 시간 해요?




'뵈요'(X) '봬요'(O)
'뵈/봬'도 '하/해' 호환으로 구분


직장인이 카톡으로 자주 하는 말 중 하나가 '내일/담주에/휴가 끝나고 봬요'가 아닐까 합니다.
근데 이걸 '뵈요'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세상에 '뵈요'는 없어요. '뵈어요'와 그것의 준말 '봬요'만 있을 뿐.


'뵈'/'봬'가 헷갈린다면 이것도 위의 '하'/'해' 호환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분해도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예를 살펴보시면 이해가 될 거예요.



(예)
내일 봬요. → 내일 하요 <<< 내일 해요
어제 뵀어요. → 어제 핬어요 <<< 어제 했어요
회사에서 뵐게요. → 회사에서 핼게요 <<< 회사에서 할게요
바로 뵐까요? → 바로 핼까요? <<< 바로 할까요?
다음 주에 뵙겠습니다. → 다음 주에 해겠습니다. <<< 다음 주에 하겠습니다.





'데'를 '것, 곳'으로
바꿀 수 있으면
앞말과 띄어 쓴다


'데'는 쓰이는 데(곳)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지는데요. '데'를 '것, 곳, 일' 등으로 바꿔서 뜻이 통하면 띄어 쓰는 게 맞습니다.



(예)
나눈다는ˇ데 보람을 느낀다 → 나눈다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
일 잘하는ˇ데로 유명하다 → 일 잘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상사한테 허가를 받는 건 '결재'
(독재, 재가, 재량할 때 재!)


윗사람의 승인이나 허가를 받는 건 '결재'입니다. 돈을 지불하는 게 결제이고요. 헷갈리면 '독재자한테 재가받는 게 결재다'라고 생각하세요.
실제로 독재, 재가, 재량, 재판에서의 한자 '재'가 모두 결재할 때의 재입니다.





'이예요'(X)
'이에요'(O) 줄여 '예요'(O)
앞 단어 끝 글자 받침 있을 땐 '이에요'만


'이에이에이에' 계속하면 '예'가 되잖아요? '-이에요'도 줄어 '-예요'가 됩니다. '-이예요'는 안 되고요.
'이에'가 합쳐져서 '예'가 됐는데, '이'가 남아 있잖아요. 아 그런데 이게 앞 단어 끝 글자의 받침이 없는 경우에 한합니다. 받침이 있을 때는 줄이는 게 아예 안 돼요. '-이에요'만 됩니다.


하나 더, '아니예요'도 잘못된 표현입니다. 앞에 '이'랑 비슷한 '니'가 있잖아요. '이예'가 안 되니까 '니예'도 안 돼요. '아니에요'가 맞습니다.


정리하면,

대리이에요(O), 대리예요(O), 대리이예요(X)

사람이에요(O), 사람예요(X), 사람이예요(X)

아니에요(O), 아니예요(X)





'-로서'는 'as'
'-로써'는 'with'


로서/로써도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이죠. '생물 뒤는 로서/무생물 뒤는 로써'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무생물 뒤에 '-로서'가 붙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백 퍼센트 확실한 구분법은 아닙니다.
이보다는 '자격'인 'as'의 뜻을 가질 때는 '-로서', '~를 가지고(수단, 방법)'인 'with'의 뜻을 가질 때는 '-로써'로 구분하는 게 비교적 더 정확합니다.



(예)
이게 콘텐츠로서 가치가 있는가? → 콘텐츠의 '자격(as)'으로 가치가 있는가?
여러분에게 콘텐츠로써 보여 드리겠다 → 콘텐츠라는 '방법(with)'을 통해 보여 주겠다



** '-로서'를 넣을지 '-로써'를 넣을지 정히 헷갈리는 상황이라면, 틀리게 쓰느니 아예 안 쓰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이게 콘텐츠로서 가치가 있는가?'는 '이게 콘텐츠로 가치가 있는가?' 이렇게 쓰면 되니까요. 얼마든지 안 쓸 수 있습니다. 어려우면 피합시다. 복세편살!





다시 생각하는 건 '재고'
끌어올리는 건 '제고'


재고/제고 둘 다 직장인이 많이 쓰는 표현인데 그 뜻이 다르니 구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프로모션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재고시키고자 함'과 '이번 프로모션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시키고자 함'은 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 어떤 의도를 가지고 하는 말이냐에 따라 선택해 쓸 수 있겠죠.
'재고'를 쓰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고자 함이고, '제고'를 쓰면 이미지를 좋게 끌어올리고자 함의 뜻이겠습니다.


재도전할 때 '재'가 들어가니까 '재고'는 '다시 생각하는 거다' 이렇게 외우면 쉽습니다.





'1회'의 뜻인 '한 번'은 띄어 쓴다!


업무 중에 '한 번'이라는 단어를 의외로 많이 쓰게 됩니다. '한 번에 다 된다', '한 번에 이만큼 상승했다' 이런 뉘앙스의 표현을 많이 써서 그런가 봐요.
그런데 이 '한 번'의 띄어쓰기도 굉장히 헷갈립니다. '한번'이라고 붙여서 쓰는 경우도 있거든요. '어디 한번 해볼까?', '한번은 그런 적이 있어'와 같이, '기회나 시도'의 의미 혹은 '지난 어떤 때'의 의미로 쓰일 때요.
'1회의 뜻일 때의 한 번'만 '1번 띄어 쓴다'로 외우면 쉽습니다.



정리하면,

한ˇ번 구독하면 평생! (1회의 의미일 때)

얼굴 한번 보자 (기회나 시도)

한번은 그런 적이 있었지 (과거의 어느 때)





'금시에'를 줄여서 '금세'


금새인지 금세인지 헷갈리죠? '금시에'의 준말이므로 '시에'가 줄어 '세'로 외우면 쉽습니다. 금세 외웠죠?





시간의 경과를 의미하는 '지'는
앞말과 띄어 쓴다


‘지’를 앞말에 띄어 써야 할 때도 있고, 붙여 써야 할 때도 있는데요. 시간의 경과를 의미할 때는 띄어서, 인지 아닌지의 의미일 때는 붙여서 씁니다.

(예)
너를 잊은ˇ지도 오래다. → 시간의 경과
너를 잊은지 모르겠다. → 인지 아닌지

쉽게 외우려면 이렇게 생각하세요. 시간의 경과는 뭔가 여운이 느껴지잖아요? 그러니깐 한 숨 쉬고(띄고) 쓰는 겁니다.





'제-'는 제발 붙여 쓴다

'제30회', '제2의 법칙' 등 '제'를 쓸 때는 뒤에 오는 숫자와 붙여 씁니다. 제발을 붙여 쓰니 제팔(8)도 붙여 쓴다고 외웁시다.





(끝)



(사족)

맞춤법 검사기 이용하는 분들도 많죠? 물론 웬만한 건 검사기를 통해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기가 문법적 오류까지 완전히 잡아 주지는 않기 때문에, 맹신하거나 의존하지는 마세요.
크로스체크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따라다따 작가님의 글 더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