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마케터 지인의 자기소개 글을 허락을 받고 약간 편집해 발행한다.
마케터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고충과 통찰이 잘 녹아있는 글.


제가 생각하는 마케터는 진짜 특이한 직군입니다. 브랜드, 퍼포먼스, 전략 어떤 곳에서는 세일즈까지 마케팅의 영역으로 두기 때문이죠.
사실 마케터라고 하면 어떤 일을 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랜딩을 한다고 해도 전략부터 실행, 결과 분석까지 각각 다른 스킬과 전문성을 요구하니까요.
칼같이 업무를 나눌 수도 없고, 이것을 하려면 저것이 먼저 되어야 하고, 줄줄이 알감자처럼 되어있잖아요.

전공 지식도 없던 제가 처음부터 마케터가 되고 싶다고 생각한 건 아니었습니다. 저는 흔히 말하는 '콘텐츠 마케터'로 이 직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냥 덜컥 글 쓰는 직업을 가지고 싶어서 들어간 첫 회사는 PR 에이전시였는데, 사실 저는 그때 제가 마케터라고 생각하지도 않았어요.
선배들이 시키는 일을 하다 보니까 어느새 브랜드 전략, 콘텐츠 전략 등등 '마케터'의 영역의 일을 하고 있었죠.
일 년 동안 제안서와 콘텐츠를 몇 개 쓰고, 매일 리포트를 썼어요. 그러고 다른 회사의 JD(Job Description)를 살펴보다 그제야 제가 하고 있었던 일을 알게 되었어요.
이래저래 마케터 비슷한 일을 하고 있었구나, 싶었습니다.

좀 싱겁긴 하지만 그렇습니다. 그니까 마케터로 일한지는 3년 정도 됐는데, 마케터가 된지는 한 1년 반 밖에 안된 것 같습니다.
왜 이 일을 해야 되는지 모르고 시작했으니까요.
지금도 제가 어떤 마케터인지 잘 모르겠지만 이것저것 하면서 느낀 점은 마케터가 스킬만큼이나 마인드셋이 중요한 업이라는 거예요.
여하튼 우리 사장님들의 비즈니스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영역은 존나 일정하지가 않잖아요.
어디서는 신호등처럼 페북 광고 껐다 켰다 하는 게 마케터고, 어디서는 무슨 BM까지 짜고 사업을 들었다 놨다 합니다. 같은 마케터라도 하는 일이 천차만별이에요.
똑같은 회사에서도 마케팅팀이 하는 일이 매번 변하는데, 회사마다는 오죽 다르겠습니까.

우리는 하루에 무슨 경리직 인턴처럼 덧셈 뺄셈을 열심히 하다가 갑자기 사장님처럼 의사결정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고 갑자기 대행사랑 네고하다가 싸우기도 하고요. 일의 범위가 너무 넓습니다.
그래서 저의 경우는 업의 본질을 잊고 일 자체게 매몰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고, 무작정 열심히 하는 거죠.

물론 퍼포먼스 마케팅이니, 데이터 사이언스니 실질적인 스킬이 주가 되는 업무들이 있으나 결국 우리 업의 본질은 자본주의 시스템을 어떻게 저글링 하냐인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마케팅적인 방법론은 계속 늘어나기만 하고 줄어들진 않으니까요. 10년 전부터 있었던 텔레마케팅이나 TV CF가 사라지지 않았죠.
근데 우리 사장님은 틱톡에 광고 채널 안 생겼나 모니터링해달라고 합니다. 우리가 나이를 먹으면 마케팅 채널이 대체 얼마나 생길지 무서울 정도입니다.
또 같은 마케팅 채널이라도 하루아침에 달라지기도 합니다. 페북 광고, 검색광고 모두 우리가 완벽하게 안다고 자부할 수가 없어요.

우리 본질은 결국 정치인이나 방송국 PD가 하는 일과 비슷합니다. 한쪽에서는 열심히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사이에, 우리는 자본주의 틈새에 끼어서 돈을 긁어올 궁리를 합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 이만큼 멋진 플레이어가 어디 있을까요? 마케터는 정말 재미있는 직업입니다.


글쓰는 개씨 작가님 글 더 보러가기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주)트렌드메이커

Dinto 딘토 Dinto는 deeply into를 뜻하며 '깊이'에 대한 우리의 열망을 상징합니다. 깊이 없는 아름다움은 장식에 불과하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매 순간 감응하며 나만의 철학과 아름다움을 쌓아가는 여성을 찬미하며 고전문학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로 여성의 삶을 다채로이 채색하고자 합니다. 전과는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 그런 글처럼 딘토가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안목을 넓히고 격을 높여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핀 더 푸드 our phillosophy 배부른 영양결핍과 고달픈 자기관리에 지쳐버린 현대인들에게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당신의 삶을 가볍게 그리고 즐겁게 핀더푸드가 제안하는 건강한 다이어트&이너뷰티의 시작 our promise 더 간편한 더 맛있는 더 효과적인 경험을 위한 핀더푸드 내 몸을 위한 거니까, 자연주의 착한 성분으로 HACCP&GMP의 엄격한 품질관리로 다양하고 트렌디한 식이요법을 약속합니다. our vision 바쁜 일상 속, 더 이상의 수고를 보탤 필요는 없기에 우리가 당신의 예쁨과 멋짐,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더 확실하고, 더 맛있고, 더 간편한 제품개발을 위해 끝없이 연구합니다. 고된 자기관리에 지친 당신을 위해, 핀더푸드.

판매/유통/무역/도매/소매/운수 

플랫팜

주식회사 플랫팜은 2017년 인포뱅크로부터 시드라운드 투자 유치와 R&D 자금 연계를 기점으로, SBA 서울혁신챌린지에서 최우수상, 베트남 글로벌 컨퍼런스 SURF 컴피티션 우승을 하였습니다. 그 이듬해인 2018년에 삼성벤처투자로부터 전략 투자를 유치하여 지속적인 플랫폼 개발을 거듭하였고, 2019년 삼성전자와 기술 제휴를 통해 당사 이모티콘 플랫폼인 `모히톡(mojitok)` 서비스를 갤럭시 스마트폰에 연동하여 연 3억 대의 기기에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인 베트남 법인 Zookiz에서는 신한그룹 퓨처스랩의 프로그램 지원에 힘입어 베트남 최대 플랫폼 VNG zalo와의 파트너십 등 동남아시아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2020년 상반기에는 구글 <Tenor> 검색서비스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국제 AI학회 <ACL> SocialNLP 챌린지 1위, 2020 Kocca 스타트업콘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2021년에는 Facebook 그룹의 Whatsapp 메신저와 콘텐츠 공급 계약을 맺는 한 편, 동남아시아 최대 사무용품 전문 업체 Thien Long과 캐릭터 라이선스 계약을 맺으며 글로벌 마켓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올해까지 누적 투자액 50억원을 달성하며 높은 기술력과 디자인 상품성의 융합을 통해 세계 무대로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IT/정보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