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영업 부문 신입 공채 때의 일이다. 면접관인 나의 눈을 사로잡는 한 지원자가 있었다. 문이 열리자 당당하게 들어오는 지원자의 발걸음이 시원하다.
학력, 전공, 학점, 자격증, 어학 점수, 대외 활동과 수상 경력까지 두루 갖춘 이력서의 주인공이었다. 그래, 자신만만하구나. 긴장될 만한 장소에서도 당당함을 잃지 않는 그 태도가 내심 마음에 들었다. 시종일관 열정을 어필하는 지원자에게 면접관 중 한 사람이 물었다.


“5년, 또는 10년 후에 어떤 일을 하는 사람, 혹은 어떤 일을 이룬 사람이 되고 싶습니까?”



지원자가 답했다.


“아직 실무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일단은 회사가 필요로 하는 일을 하겠습니다.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업무에 임하고, 어떤 일이든 빠르게 습득할 자신이 있습니다. 그래서 ‘아, 영업하면 ○○○이지.’라는 말을 듣는 그런 직원이 되고 싶습니다.”


두 눈을 초롱초롱 빛내며 자신 있게 외치는 지원자. 그런 지원자를 바라보며 미소 짓는 면접관들.
지원자는 면접이 잘 되고 있다고 생각했겠지만, 면접관들의 머릿속에는 이런 생각이 떠오른다. '아, 안 되겠다. 이 친구는 못 뽑겠구나.'


신입일 때는 모두가 간절하고, 열정적이고, 낮은 자세로 배울 준비가 되어 있다. 그러나 간절함, 열정, 배움의 자세 같은 추상적인 것은 아무런 강점이 되지 못한다.
모두가 동등하게 서 있는 출발점일 뿐이다. 게다가 열정으로 배워나가는 곳이 학교라면, 회사는 당신이 배운 것을 토대로 성과를 내야 하는 곳이다.



왜 회사가 나를 뽑아야 하는가?

뜨겁게 타오르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생각해보자. 왜 회사가 나를 뽑아야 하는가? 내가 지원한 직무가 회사에 어떤 소용이 있는가?
해당 직무가 회사에 가져다주는 이득은 무엇인가? 해당 업무를 잘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궁극적으로 나는 해당 직무를, 왜 이 회사에서 하려고 하나?


면접관들도 한때는 뜨겁게 타오르는 열정을 갖고 입사한 신입이었다. 하지만 해가 바뀌어 갈수록 뜨거운 마음은 식어갔고, 한마음으로 입사했던 동기들이 많이 떠났다.
어느새 입사 동기가 몇 명 남지 않았다는 걸 느낄 때쯤 남은 자들은 서로에게서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한다. 바로 구체적인 목표와 성과다.


만약 이 지원자가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열정’이나 ‘배움’이 아니라 구체적인 목표를 이야기했다면 어땠을까?
같은 신입 공채 건에서 최종 합격을 거머쥔 또 다른 지원자의 목표는 아래와 같다.


“판매 실적을 올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수금까지 능동적으로 관리하는 영업사원이 되겠습니다. 미수금 관리로 악성채권이 회사에 쌓이지 않도록 하여 회사 경영에 보탬이 되겠습니다. 향후 5년간 내규로 정해진 대금 납부 기준을 충족하는 영업 건이 제 실적의 9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추상적인 것을 원하지 않는다.

회사는 추상적인 것을 원하지 않는다. 열정 같은 추상적인 어휘에 기대선 안 된다. 이제 여러분이 살아가야 할 세상은 구체적인 증거가 남아야 하는 곳임을 기억하자.
열정이 사그라든 뒤에도 계속해서 성과라는 꽃을 피워낼 수 있을 때 진짜 프로가 된다는 것을, 당신이 바로 그런 사람임을 증명해야 한다.



인투인 미디어의 [캠퍼스 플러스] 지면에 "슬기로운 인담생활"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되는 칼럼입니다. 앞으로 1년간 [캠퍼스 플러스] 지면과 캠퍼스 플러스 홈페이지, 그리고 브런치를 통해 독자 여러분을 만나 뵙겠습니다.

캠퍼스 플러스 바로가기 : http://campl.co.kr/contents/content_read.asp?idx=10100&bigcate=3
채용담당자가 알려주는 취업의 정석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990652

인사팀 직원이 알려주는 인사업무 비법서
https://page.kakao.com/home?seriesId=52318799


Kyle Lee 작가님 글 더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