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2020년 여름쯤 ‘1년 100권 읽기'를 목표로 한창 독서에 집중했다.

출근 전 새벽, 회사에서 점심시간, 퇴근 후 저녁시간, 그리고 주말 할 것 없이 틈만 나면 책을 읽으려 노력했다. 그런데 집에서 읽는 책과 회사에서 읽는 책이 달랐다. 집에서는 재테크나 자기 계발서를 주로 읽었고, 회사에서는 직무, 리더십과 관련된 책을 읽었다. 집과 회사에서 읽는 책을 가능하면 분리하려 했다. 집에서 일과 관련된 책을 읽으면 왠지 워라밸을 깨진 삶을 살고 있는 것 같았다. 여유 있게 책 읽는 시간이 일하는 시간이 되는 것 같아서였다. 사소한 것에서부터 워라밸을 지키고 싶었다.



어느 순간 책의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재테크 관련 책은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책이다. 가끔 읽기는 하지만 그렇게 자주 읽지는 않는다. 주로 읽는 재테크 관련 책은 '부와 성공을 이룬 사람들의 삶의 태도'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워런 버핏의 이야기, 김승호 회장의 돈의 속성, 레이 달리오의 원칙, 팀 페리스의 타이탄의 도구들 같은 책들이다. 사실 이들은 재테크 책이지만 오랜 시간 투자와 기업 운영을 하는 원칙은 평범한 리더십, 조직문화 책들보다 깊이가 있다. 리더십과 조직문화에 대한 책 또한 마찬가지이다. 애덤 그랜트의 기브 앤 테이크, 캐럴 드웩의 마인드셋, 짐 콜린스의 Good to Great 등의 책들은 리더와 조직 측면에서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인생을 성공하기 위해서도 꼭 읽어야 하는 책들이다.



부끄럽게도 책을 구분 짓는 것이 어리석었음을 그제야 알게 되었다.

집에서도 회사책을 '편하게' 읽기 시작했다. 오히려 마음이 홀가분해졌다. 이를 계기로 일과 삶의 경계가 흐려졌다. 집에서 마음 편히 직무와 관련된 책을 읽으며 정리했다. 그리고 필요하면 이와 관련된 자료를 만들고 정리하기도 했다. 예전의 기준으로는 워라밸이 깨진 것이다.



워라밸은 일과 삶의 균형을 이야기한다.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를 쓴 김호 작가는 워라밸을 '남을 위해 내 시간을 팔아 돈을 버는 활동(A) / 나를 위해 내 시간을 쓰는 활동(B) 사이의 균형'이라고 한다. 내 시간에 '남을 위한 일'이 많을수록 워라밸이 낮고, '나를 위한 일'이 많을수록 워라밸이 높다. '나를 위한 일'을 회사와 상관없는 일을 통해서 늘리는 것보다 내가 직장에서 하는 일 가운데 무엇이 '나를 위한 일'이라고 느껴지는지 찾아보자고 한다. 즉 회사에서 하는 일의 일부를 나를 위한 일로 바꾸는 것이다. 회사에서 보내는 시간이 나 자신을 위해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에서 워라밸이 높아질 수 있다. 지난여름 집에서 독서를 하던 중에 책의 경계를 없앤 것은 '회사를 위한 일이 나 자신을 위해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아차린 것이다. 일과 삶을 구분 짓는 워라밸의 기준에서는 나빠졌다고 할 수 있지만, 내 삶이 나빠진 것은 아니었다. 워크 앤 라이프 하모니였다.



워라밸에 대한 재미있는 연구결과를 본 적이 있다.

심리학자 제리 에델위치 연구팀은 재미있는 연구를 소개한다. '일과 삶이 잘 분리될수록 만족도가 높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연구결과는 반대였다. ‘일은 그냥 일일뿐이다’라고 생각을 가진 사람, 즉 일과 삶을 분리시키려는 생각이 강한 사람일수록 삶에 대해 무기력함을 느끼는 확률이 높다고 한다. 워라밸을 추구할수록 회사에서 만족감을 느끼려는 노력을 하지 않을 것이다.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회사에서의 만족감이 떨어질 테니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또한 낮을 수밖에 없다.



집에서 이 글을 쓰면서도 깨닫는다. 이 또한 '나를 위한 시간'이면서, ‘조직을 위한 시간'이라는 걸.



방성환 작가님의 글 더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