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Frame> 프레임
영상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화는 1초에 24장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TV는 1초에  30장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연속된 프레임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나의 영상을 완성한다. 앞에서 잠시 이야기했지만 프레임에 대한 이야기는 좀 더 자세히 하고 싶다. 영상을 통해서 보는 프레임 속의 세상은 임의로 연출한 세상이다. 제작자가 담고 싶은 정보만을 촬영하여 녹화한 것이다. 
실제 현실의 일부분을 담았다. 이렇게 제작자의 주관적인 선택에 따라서 프레임이 설정된다. 이런 이유로 영상은 사실적인 현실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보이는 프레임은 사실일까? 사실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프레임으로 보이는 세상을 그대로 믿으면 곤란하다. 
우리에게 보이는 프레임은 극히 일부분이기 때문이다.
 
 

© fotshot, 출처 Pixabay



 
영상을 제작하는 사람이 가진 힘은 바로 이것이다. 
자신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재구성할 수 있는 힘이다. 
이 힘은 생각보다 굉장히 강한 영향력을 지닌다. 
프레임의 안과 밖, 그것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사람이 진정한 영상 제작자다. 
우리는 프레임을 통해 세상을 축소, 확대, 왜곡할 수도 있다. 시청자는 프레임 밖의 진실을 알 수 없다. 
보이는 정보만으로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프레임을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제작자의 몫이다.  
영상을 책임지는 것도 제작자의 몫이다. 
각자가 만들어낸 영상에 대해서 양심적인 책임을 질 수 있는 제작자가 되어야 한다. 
올바른 주관을 가진 프레임이 많이 생겨나길 바라는 마음이다.

대학시절에 사진과 교수님에게 프레임에 대해서 배우고 함께 고민한 수업이 생각난다. 그 교수님은 늘 검은색 옷만 입고 다니셨다. 검은색이 주는 이미지가 좋다고 하셨다. 특히나 세상의 모든 빛을 빨아들이고 싶다는 말도 덧붙였던 기억이 난다. 속옷까지도 그랬을지는 모를 일이다.
하지만 자동차는 빨간색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원하는 색상이 없어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차는 빨간색 스포츠카였다. (스쿠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참 오래전 일이다.) 여하튼 그 뒤로 나는 저렇게 손 모양을 만들면서 세상을 나만의 프레임으로 바라보곤 했다. 그런 느낌이 좋았고 기분이 색다름을 느꼈다.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세상을 바라보는 나만의 시선을 가진다는 것은 멋진 일이다.
남들과 다르게 세상을 볼 수 있어서 좋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같은 것을 보지 않을 수 있어서 좋다.
무엇보다 가장 좋은 것은 내가 만든 프레임을 다른 사람이 함께 보고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영상 제작자의 프레임은 그렇게 만들어진다.
우리 자신의 프레임을 만들어보자. 자신의 눈을 가지고 세상을 재구성해보자. 내가 느끼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전해보자. 가슴 떨리는 일이 아닐까?
우리는 그렇게 자신만의 세상을 창조하는 크리에이터다.                                                                                                                                                                                                                                                                                                                                                                                                                                                                                                                                                                                                                                 

심PD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