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앞서 두 번의 글에서 직장의 가치에 관하여 정리한 적이 있다. 사람들이 직장을 선택하고 옮기고 계속 다닐 때에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돈, 자부심, 비전(하고 싶은 일),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장소, 안정성 등의 조건을 비교해가며 선택하게 된다는 글이었다.

이를 보다 현실적으로 대기업, 정부 및 공공기관, 국내 소재 외국계 기업으로 구분하여 표시해 보았다.



먼저, 대기업의 경우 돈과 자부심은 높다. 비전을 이야기하자면 자신이 하고 싶은 업무를 구체적으로 알고 그 업무에 배치 받게 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기에 미지수로 표시하였다. 금융권이면 서울에 모여 있겠지만 제조업이라면 수원, 파주, 화성, 기흥, 광주, 구미, 거제, 창원, 울산, 포항 등 지방에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서울에서의 직장생활을 꿈꾸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무리일 수 있다. 대기업은 근무 강도가 높기 때문에 워라밸(WLB)은 낮을 수 있다. 얼마전 금융권에서 만 40세(1978년생)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은 것을 보면 안정성도 그리 강하진 않다.

정부 및 공공기관의 경우 일반적으로 급여가 민간기업에 비해 낮은편이다. 대신 국가기관에서 일한다는 자부심은 높을 수 있을 것이다. 반면, 관료적인 업무처리와 비합리적 조직문화 속에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느낌은 낮을 수 있다. 그럼에도 정부기관의 일이라는 것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도 있을 수 있다. 현재 공공기관, 정부기관은 지방으로 이전하여 장소에 대한 이점도 떨어지는 편이다. 대신 워라밸과 안정성은 대체적으로 높다.

마지막으로 국내소재 외국계 기업이다. 일반적으로 초임 급여는 국내 대기업과 비교를 한다면 생각보다 낮을 것이다. 대신 국내 진출한 기업은 글로벌기업이자 유명한 기업이 많기에 자부심은 높은 편이다. 국내 소재 외국계 기업은 현지 채용인력이기 때문에 마케팅, 영업, 운영, 유지/보수 등의 업무가 주이고 본사로의 전망이나 업무에 대한 만족은 다소 낮은 편이다. 대신 장소는 대부분 서울에 있으며 워라밸은 최고의 이점으로 볼 수 있다. 한국지사 철수 등의 이유로 안정성도 보장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직장의 조건이나 가치를 대기업, 정부 및 공공기관, 국내 소재 외국계 기업에 간략히 적용하여 보았는데, 앞으로 자신의 진로와 커리어에 대한 방향을 설정할 때에 이러한 조건들에 관하여 미리 생각하여 곰곰이 따져보면 후회를 최소화하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해본다.

 작가의 다른 글 보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