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영어 이력서 쓰는  도와드리다가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얼른 창을  봅니다.

 

1) ATS(Application Tracking System)을 아시나요?

 

보통의 외국 회사는 공채가 없다. 사람이 필요할  수시로 뽑는다. 그래서 리크루터나 인사팀에서 레주메를 먼저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 75%나 되는 회사들이 리크루팅 소프트웨어나 Applicant Tracking System(ATS) 사용한다. (리크루터들이 직접 올리는 공고의 경우는 그래도 사람들이 직접 읽어보는 것으로 보인다.) 이 소프트웨어가 레주메를 찬찬히 스캔하며(읽으며) 나의 서류 전형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

그럼 이 소프트웨어는 뭘 좋아하는가?

 

결국 이것도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로직이란 게 있을 것인데 이 소프트웨어는 채용 공고와 회사 홈페이지의 '회사 소개'란에 있는 단어를 좋아한다.  단어들을 적당히 잘 사용해 줄수록 합격률이 올라간다. 어찌 보면 공고와 회사 홈페이지가 족보 같은 느낌?

 

그럼 회사마다 공고도, ‘About Us’ 다른데 그때마다  다르게 써야 하나요?

! 

웬만하면 그러는 게 좋다. 다른 사람한테 썼던 티가 팍팍 나는 러브레터, 나도 받기 싫지 않나? 그리고 ATS을 쓰지 않더라도 웬만하면 새로 만드는 게 좋다. 리크루터들은 하루 종일 레주메만 보는 사람들이다.  사람이  회사를 위해서 레주메를 만들었는지 그냥 돌리고 있는지 안다.


레주메는 누가 어떻게 검토할까?

brunch.co.kr/@swimmingstar/260

 

 

 2. 내가 쓰고 싶은 것만 쓰는 레주메.

 

레주메는 정해진 형식이 없다. 한국처럼  넣어야 하지만 내가 넣고 싶지는 않은 그런 공간이 없다.(요즘에도 부모님, 배우자 같은 가족에 대한 질문이 있나요? 너무 오래되어 기억이...) 예를 들어 성적이 별로 좋지 않았다면 학점을 굳이 적지 않아도 된다. 정말 일과 학력, 경력에 관한 내용만 넣으면 되고 그것도 내가 원하는 내용만 넣을 수 있다. 이렇게 자유롭기 때문에 객관식과 단답형 주관식에 길들여진 한국 사람들에게 오히려 더 막막하게 다가올지도 모르겠다.

어차피 내가 나온 한국의 대학교에 대해 사람들은 모른다. 한국에서 대기업에 다녔더라도 삼성, 현대, LG 등이 아니면 잘 모른다. (포스코나 SK 같은 곳도 들어보지 못했다는 리크루터들도 의외로 많은 거 보고 충격받은 적이 있다. 물론 관련 업계(ex. 철강)에서 일하는 외국인은 제외.) 그래서 내가 나온 회사 이름 옆에 회사에 대해 한 줄로 요약, 설명하는 것도 다.

 

학교, 회사 이름만 보고 한국처럼 나에 대해 편견을 가지지 않는 건 장점이지만, 그들이 모르는 만큼 내가 설명을 많이 해야 한다는 건 좀 귀찮기도 하다.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관련성!!

어쨌든 이들이 관심 있는 것은 직무와 내 경력, 학력이 지금 이 직업과 얼마나 관련이 있냐이다. 그리고 경력이 어느 정도 쌓이다 보면 내 학력도 거의 상관이 없어진다. 아직 경력이 많이 없다면 학력에 'Relavant course'라고 하여 직무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수 과목을 몇 개 적어주면 좋다.

 

 * 그럼 나의 경우는 어땠을까? 대학 때부터 사람들이 나의 전공을 들으면 두 가지 반응이었다.

 "취직하기 힘들겠다." or "너도 전공 상관없이 점수 맞춘 거구나?"

첫 번째 말은 팩트니 상관이 없었다만 두 번째 말은 나를 상당히 빡치게 했다. 나는 취직 못하더라도 일단 배우고 보자는 마음으로 전과까지 해서 얻은 전공이었다. 그래서 전공이 뭐냐고? 사학이다. 그 때문에 나중에 경영학을 부랴부랴 부전공하긴 했지만 아무튼 나는 그 전공을 배우면서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등록금이 아깝다거나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없다. (세계 역사를 수박 겉핥기식으로라도 배웠던 게 나중에 여러 외국인들과 처음 만나서 이야기를 나눌 때 도움이 되었다.  참 신기하지. 어떻게든 다 써먹게 되니.) 아무튼 내가 좋아하는 건 좋아하는 거고, 일할 때 관련이 없는 건 관련이 없는 것. 그래서 나는 레주메에 항상 Minor major를 써야 했고 Relevant course라고 해서 경영학 수업에서 들었던 과목을 함께 적어주었다. 내가 아무리 자랑스럽게 생각하거나 꼭 넣고 싶은 과목이라도 관련성이 적다면 눈물을 머금고 빼야 할 때도 있다. (내가 가장 재미있게 들었던 과목인 '서양 현대 산업 사회의 형성과 대중 정치'를 레주메에 쓸 수는 없으니)  그리고 아무리 경영학과라고 해도 회계에 지원하지 않는 한 회계원리를 쓸 필요도 없다.

 


외국 채용공고를 보고 기죽지 말아요
https://brunch.co.kr/@swimmingstar/337

싱가포르 글로벌 대기업 현직자에게 물어보세요

brunch.co.kr/@swimmingstar/337

 

 

#영문이력서 #해외취업 #레주메 #레주메작성 #싱가포르해외취업



사라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사라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주)트렌드메이커

Dinto 딘토 Dinto는 deeply into를 뜻하며 '깊이'에 대한 우리의 열망을 상징합니다. 깊이 없는 아름다움은 장식에 불과하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매 순간 감응하며 나만의 철학과 아름다움을 쌓아가는 여성을 찬미하며 고전문학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로 여성의 삶을 다채로이 채색하고자 합니다. 전과는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 그런 글처럼 딘토가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안목을 넓히고 격을 높여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핀 더 푸드 our phillosophy 배부른 영양결핍과 고달픈 자기관리에 지쳐버린 현대인들에게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당신의 삶을 가볍게 그리고 즐겁게 핀더푸드가 제안하는 건강한 다이어트&이너뷰티의 시작 our promise 더 간편한 더 맛있는 더 효과적인 경험을 위한 핀더푸드 내 몸을 위한 거니까, 자연주의 착한 성분으로 HACCP&GMP의 엄격한 품질관리로 다양하고 트렌디한 식이요법을 약속합니다. our vision 바쁜 일상 속, 더 이상의 수고를 보탤 필요는 없기에 우리가 당신의 예쁨과 멋짐,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더 확실하고, 더 맛있고, 더 간편한 제품개발을 위해 끝없이 연구합니다. 고된 자기관리에 지친 당신을 위해, 핀더푸드.

판매/유통/무역/도매/소매/운수 

부킹닷컴 코리아

1996년 암스테르담에서 설립된 Booking.com은 소규모 스타트업으로 시작하여 전 세계 최대의 여행 e커머스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Booking Holdings Inc. (NASDAQ: BKNG) 그룹사인 Booking.com은 전 세계 70개국 198개 오피스에 17,00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br><br> Booking.com은 <b>‘온 세상 사람들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b>는 목표 아래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여행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기술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숙소 선택의 폭을 자랑하는 Booking.com을 통해 아파트, 휴가지 숙소, 비앤비부터 5성급 럭셔리 호텔, 트리하우스, 심지어는 이글루까지 다양한 숙소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Booking.com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사용 가능하며, 전 세계 70개 국가 및 지역에 위치한 여행지 143,171곳에서 29,068,070개의 숙박 옵션을 제공합니다. <br><br> Booking.com 플랫폼에서는 매일 1,550,000박 이상의 예약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Booking.com과 함께라면 출장, 휴가 등 여행 목적에 상관없이 원하는 숙소를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별도로 부과되는 예약 수수료는 없으며, 최저가 맞춤 정책을 통해 최상의 요금을 제공해드립니다. Booking.com 고객 지원팀을 통해 24시간 연중무휴, 40개 이상의 언어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