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사회생활을 시작했던 해부터 2017년까지 돌아보면 opellie라는 아이는 늘 '의미'를 찾아다녔던 듯합니다. 첫 시작의 감사실에서도, 어쩌면 신입사원에게 감사실이라는 일 자체가 힘든 일이었을 수도 있겠지만, 다루어야 하는 서류들은 정말 많았지만 그 많은 서류 중에서 의미를 찾지 못했었기에 더욱 힘들어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1년이라는  1 cycle이 지나고 만일 HR을 만나지 않았다면 감사라는 일에 대해 나름 익숙해짐을 느끼는 순간 어쩌면 그 의미를 찾는 걸 포기하고 익숙함을 따랐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사실 HR을 처음 만났을 때에도 그 '의미'를 찾지 못했던 건 마찬가지였습니다. 오히려 그나마 익숙해져 가는 업무를 놓고 다시 새로운 걸 해야 한다는 두려움이 더 컸었습니다. 만일 그 때 HR에서 의미를 찾지 못했다면 아마 지금 이 글들을 쓰는 일도 없었겠죠. 

'일의 의미' , 
이를 찾는 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우리 자신의 삶을 위해 찾고자 노력해야 하는 것.

 

HR에서 의미를 찾게 된 건 약간의 운이 있었습니다. 당시 재직 중이던 기업에서는 일의 의미를 찾지 못한 상태였고 우연히 가입한 online commuinty에서 off-line 모임을 한다는 소식을 접합니다. 이제 막 HR을 한 , HR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에게 전혀 모르는 사람들과 만난다는 건 무척이나 어색한 일이었습니다. 당시 해당 community의 초기 스탭 한 분이 메일과 쪽지를 계속 주셨었고 망설이다가 일단 나가보기로 했었죠. 아직도 그때의 모습을 기억합니다. 사당역의 어느 삼겹살 집에서 한 분이 간단한 강의(?) 비슷한 걸 해주셨고 제 옆에는 지방에서 올라오신 세무 관련 업종에서 HR을 오래 하신 어느 신사분이 있었죠. 그때가 어찌 보면 제가 HR을 하게 된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분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던 '가치'라 할 수 있는 '도움'이라는 가치를 연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할까요.


얼마 전 어느 SNS에서 우리나라 기업에서 일의 의미를 찾기란 어렵다는 내용의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 말에 대해 저는 50%는 맞는 말이고 50%는 아닐 수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국내 기업에서 일의 의미를 찾는다는 건 어렵다는 말에 사실 동의합니다. 하지만 기업에서 일을 만나는 건 그 일을 시작하는 계기를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아닐 수 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계기가 만들어지면 이제 할 일은 그 내용을 채워가는 것이고 누군가 옆에서 이끌어줄 리더가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만들어갈 필요도 있기 때문입니다. 부연하면 리더는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지만 그 방향을 선택하고 한 개인의 삶으로 구체화해 나가는 건 우리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어쩌다 어른'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 '장하성 전 교수님'의 강연에 등장한 'NATO'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전 뜬금없이 북대서양 조약기구?라는 생각을 했죠. 어릴 적 반복학습의 폐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NATO, No Action Talk Only 의 약자로 이야기를 해주시더군요. IMF 당시 국내가 그러한 상황에 처한 원인을 진단한 보고서에 담긴 내용으로. 어쩌면 과거보다 오늘날 NATO에 가까운 정보들이 더 많다고 보는 게 맞을 듯합니다. 이 글을 쓰는 저를 포함해서 과거보다 확실히 speaker가 많아진 세상이죠. 그런데 그렇게 많아진 말의 수만큼 행동도 많아지고 있는가? 에 대해 어쩌면 한 번 생각해볼 시점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누군가를 비난하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 개개인을 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말이죠.

 

첫 이직을 했을 때 만났던 , 제 경력 상에 제가 유일하게 '사수'라고 호칭을 하는, 어느 분을 만난 초기에 그분이 저에게 했던 말이 '생각 좀 그만 하고 움직여라'였습니다. 일을 할 때 항상 그 말을 기억합니다. 어느 다리부터 내딛을지 고민하다가 그 자리에 주저앉고 마는 지네가 되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일의 의미를 찾는 건 하나의 행동에서 시작될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일에서 의미를 찾으면 더욱 어려운 일들이 다가올 수 있습니다. 일에서 의미를 찾는다는 건 일을 통해 해보고 싶은 것들이 많아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NATO가 되지 않는 것, 어쩌면 우리가 우리가 마주하는 일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아울러 우리 주변에 NATO Leader 보다 Action Leader가 많아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Opellie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