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을 시작했던 해부터 2017년까지 돌아보면 opellie라는 아이는 늘 '의미'를 찾아다녔던 듯합니다. 첫 시작의 감사실에서도, 어쩌면 신입사원에게 감사실이라는 일 자체가 힘든 일이었을 수도 있겠지만, 다루어야 하는 서류들은 정말 많았지만 그 많은 서류 중에서 의미를 찾지 못했었기에 더욱 힘들어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1년이라는 1 cycle이 지나고 만일 HR을 만나지 않았다면 감사라는 일에 대해 나름 익숙해짐을 느끼는 순간 어쩌면 그 의미를 찾는 걸 포기하고 익숙함을 따랐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사실 HR을 처음 만났을 때에도 그 '의미'를 찾지 못했던 건 마찬가지였습니다. 오히려 그나마 익숙해져 가는 업무를 놓고 다시 새로운 걸 해야 한다는 두려움이 더 컸었습니다. 만일 그 때 HR에서 의미를 찾지 못했다면 아마 지금 이 글들을 쓰는 일도 없었겠죠.
'일의 의미' ,
이를 찾는 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우리 자신의 삶을 위해 찾고자 노력해야 하는 것.
HR에서 의미를 찾게 된 건 약간의 운이 있었습니다. 당시 재직 중이던 기업에서는 일의 의미를 찾지 못한 상태였고 우연히 가입한 online commuinty에서 off-line 모임을 한다는 소식을 접합니다. 이제 막 HR을 한 , HR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에게 전혀 모르는 사람들과 만난다는 건 무척이나 어색한 일이었습니다. 당시 해당 community의 초기 스탭 한 분이 메일과 쪽지를 계속 주셨었고 망설이다가 일단 나가보기로 했었죠. 아직도 그때의 모습을 기억합니다. 사당역의 어느 삼겹살 집에서 한 분이 간단한 강의(?) 비슷한 걸 해주셨고 제 옆에는 지방에서 올라오신 세무 관련 업종에서 HR을 오래 하신 어느 신사분이 있었죠. 그때가 어찌 보면 제가 HR을 하게 된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분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던 '가치'라 할 수 있는 '도움'이라는 가치를 연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할까요.
얼마 전 어느 SNS에서 우리나라 기업에서 일의 의미를 찾기란 어렵다는 내용의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 말에 대해 저는 50%는 맞는 말이고 50%는 아닐 수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국내 기업에서 일의 의미를 찾는다는 건 어렵다는 말에 사실 동의합니다. 하지만 기업에서 일을 만나는 건 그 일을 시작하는 계기를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아닐 수 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계기가 만들어지면 이제 할 일은 그 내용을 채워가는 것이고 누군가 옆에서 이끌어줄 리더가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만들어갈 필요도 있기 때문입니다. 부연하면 리더는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지만 그 방향을 선택하고 한 개인의 삶으로 구체화해 나가는 건 우리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어쩌다 어른'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 '장하성 전 교수님'의 강연에 등장한 'NATO'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전 뜬금없이 북대서양 조약기구?라는 생각을 했죠. 어릴 적 반복학습의 폐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NATO, No Action Talk Only 의 약자로 이야기를 해주시더군요. IMF 당시 국내가 그러한 상황에 처한 원인을 진단한 보고서에 담긴 내용으로. 어쩌면 과거보다 오늘날 NATO에 가까운 정보들이 더 많다고 보는 게 맞을 듯합니다. 이 글을 쓰는 저를 포함해서 과거보다 확실히 speaker가 많아진 세상이죠. 그런데 그렇게 많아진 말의 수만큼 행동도 많아지고 있는가? 에 대해 어쩌면 한 번 생각해볼 시점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누군가를 비난하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 개개인을 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말이죠.
첫 이직을 했을 때 만났던 , 제 경력 상에 제가 유일하게 '사수'라고 호칭을 하는, 어느 분을 만난 초기에 그분이 저에게 했던 말이 '생각 좀 그만 하고 움직여라'였습니다. 일을 할 때 항상 그 말을 기억합니다. 어느 다리부터 내딛을지 고민하다가 그 자리에 주저앉고 마는 지네가 되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일의 의미를 찾는 건 하나의 행동에서 시작될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일에서 의미를 찾으면 더욱 어려운 일들이 다가올 수 있습니다. 일에서 의미를 찾는다는 건 일을 통해 해보고 싶은 것들이 많아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NATO가 되지 않는 것, 어쩌면 우리가 우리가 마주하는 일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아울러 우리 주변에 NATO Leader 보다 Action Leader가 많아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Opellie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