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D사에서 J사로 이직할 때의 인터뷰 기록이다.

 

외국계 잡 포스팅이 많이 나오던 한 웹사이트에서 J사 잡 포스팅을 봤다. 설명해도 모를 생소한 부서의 BDM (Business Development Manager)을 뽑는다는 포스팅이었다. 일단 들어본 회사였고, 좋아 보이는(?) 회사였다. 게다가 사업 개발 업무 해보고 싶었다. 그러나 산업군이 달랐고, BD(Business Develop) 업무 경험이 미미해 걱정 반 기대 반 심정으로 이력서를 넣었다. 2주 정도 지났을까, 인사부에서 면접 보겠냐는 연락이 왔다. ‘올커니!’ 기쁜 마음에 면접을 준비했다. 전혀 모르는 산업이었지만, 다행히 주변에 이 일이 어떤 일인지에 대해 알려줄 친구가 있었다.

 

‘AAA라고 들어봤냐?’라 물으니 ‘응. 들어봤지. 근데 그거 한국에서는 아직 취급 안 할걸’

 

그래서, ‘그래? 그 일 내가 해볼까 해서 면접 볼 건데 어떻게 생각하냐?’라 되물으니 ‘아... 그래. 근데 그거 잘 될지 모를 일이라... 리스크가 좀 큰데’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그래도 난 좋은 회사고, 해보고 싶은 업무라 면접을 보기로 결심했다.

 

 

인사부 안내를 받아 가니, 면접 보게 될 미팅룸 앞에 Y부장이 이력서로 보이는 서류뭉치를 들고 서 있었다. ‘아 이분이 매니저 될 분이구나... 그런데 젊어 보이시네?’라고 생각하며 면접을 보기 시작했다. 나는 내가 했던 일에 대해 설명하고, 내가 할 일에 대해서는 Y 부장이 상세히 설명해 주었다. 특히 내가 모르는 인더스트리에 어떻게 소프트 랜딩 할지가 궁금했는데, Y부장은 어차피 회사 내에 아는 사람이 없어 누가 이 일을 해도 교육을 받아야 한다면서 입사하면 약 3주간 미국 본사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알려주었다.

 

인터뷰는 내 경험과 능력이 앞으로 할 일에 맞는지 인터뷰어(Interviewer)와 인터뷰이(Interviewee)가 함께 알아보는 과정이다. 따라서 인터뷰는 소개팅과 같다. 양쪽 모두 기분 좋게 끝나야 결과가 좋다. 다행히 면접 분위기는 좋아서 다음 절차를 기대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열흘쯤 뒤에 화요일에 2차 면접을 보라는 일정이 잡혔다. 싱가포르에 있는 비즈니스 리더라고 하면서 목요일에 꼭 봐야 한다고 했다. 다행히 일정이 맞아 2차 면접을 보게 되었는데, 인터뷰어는 인도 출신 M이었다. M은 내 functional manager로 인도 사람답게 스마트해 보였다. 그는 내가 어떤 일을 하게 될지, 이 비즈니스에 대해 그가 가진 비전을 들을 수 있었다. 무난하게 인터뷰를 마치고 이제 결과를 기다리는 일이 남았다.

 

 

그런데 안 되면 안 됐다고 통보해 줄 건데 1달이 다 되도록 연락이 없었다. 인사부에 전화도 해보았지만, 더 기다려 달라는 피드백을 받았다. 그래도 그냥 있을 수 없어 면접 때 받아둔 Y부장 명함을 꺼내 용기를 내어 Y 부장에게 전화를 했다. ‘아, 죄송한데 조금 더 기다려주시겠어요. 차장님 좋은 분이라 꼭 뽑고 싶은데 아직 내부 논의 중이에요’라는 게 아닌가. 그래, 그럴 수 있지 싶어 또 기다렸다. 다시 1달이 지났다. 다시 용기를 내 Y 부장에게 다시 전화를 했다. 기다려 달라고 하면서도 채용할 뜻이 보였다. 이후 한 번 더 마지막 통화를 하고 1주일이 지나 인사부에서 전화가 왔다. ‘차장님 채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런데 면접 보셨던 Role이 아니라 Product Manager Role인데 괜찮으시겠어요?’. ‘당연히 되지요.’라 대답했다. 사실 BDM이 더 좋지만 PM도 하기에 따라서 신제품 출시하고 고객 개발 같이 할 수 있는 일이라 마다할 필요가 없었다. 그렇게, 끈질기게 Hiring manager에게 어필한 끝에 J사에 입사하게 되었다. 그런데, 당일 내 타이틀은 PM이 아니라 BDM이란 걸 알게 되었는데, 좀 황당했다.

 

 

나중에 알게 된 내용은 이랬다. 나와 원래 PM을 하던 D 과장, 두 사람을 비즈니스 리더인 M이 저울질하다, D를 선택한 모양이었다. 그래서 난 D 대신 PM을 하고 D가 BDM을 하기로 Y 부장이 결정된 것이었다. 그런데 막판 D가 마음을 바꿔 그대로 PM을 하기로 하면서 내가 BDM으로 입사하게 된 거란다. 즉 Y 부장은 D와 자리를 바꿔서라도 날 채용하려고 하다 보니 내 타이틀이 왔다 갔다 한 셈이었다. 그런 과정에서 날 뽑기 위해 J사 사장님까지 찾아가 이 사람 꼭 뽑아야 한다고 설득했고, 또 비즈니스 리더인 M에게도 마찬가지로 본인이 책임질 테니 같이 잘해보자고 이야기했다고 들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내가 면접을 통해 내 경험과 능력을 잘 전달했던 것도 있겠지만, 3~4번 Y 부장과 통화하면서 얼마나 내가 그 일 하고 싶어 하는지 전달했던 것도 채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한 게 아닌가 싶다.

 

그렇게 힘들었지만 배운 것이 많았던 J사에서의 생활이 시작되었다.



더보기

깜작가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 

SK이노베이션

멈추지 않은 innovation으로 새로운 50년을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Exploring the Energy Frontiers 지난 50여 년 동안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선도해 온 SK이노베이션은 일찌감치 해외 자원개발 분야에 진출하여 베트남, 페루, 미국 등지에서 사업을 잇달아 성공시킴으로써 세계 자원개발시장에서 주목 받는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오늘도 세계 11개국 14개 광구에서 세계적 에너지기업들과 경쟁하며 에너지자립의 꿈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Pioneering the World of Opportunities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은 신에너지 분야에서 세계 일류 수준의 Technology Leadership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에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와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본격적인 세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습니다. Developing Future Flagship Technologies 세계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바다 속이나 땅 밑에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과 이를 저감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재생산하는 CCU (Carbon Conversion & Utilization) 기술 개발로 지구온난화 방지 및 신소재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개척하는 기술, SK이노베이션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Sharing Success and Delivering Happiness SK이노베이션은 세상의 행복 극대화를 위해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사회공헌활동은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도 사회구성원이라는 인식 아래 지속적인 의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단순한 기부나 일회성 지원이 아닌 근본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고민과, 이에 대한 해결노력을 통해 사회변화와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