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커리어의 첫 단추를 꿰매려는 사람으로서 가장 듣기 무서운 말은 '첫 직장이 중요하다' 혹은 '커리어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등의 말이다. 진짜 무섭다. 왜냐하면 나는 아직 커리어 패스에 대한 구상이 전혀 없으며, 내가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갈 만큼 좋아하는 분야가 뭔지도 모른다. 첫 직장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지만 그 말에 사로잡혀 2년, 3년 백수 상태로 지내는 사람들도 많이 봐왔기 때문에 어디까지 타협해야 하는 지도 잘 모르겠다. 


 설령 내가 명확한 구상이 있다 하더라도 내가 원하는 직장에서 나를 원하지 않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첫 직장도 중요하고, 내가 뚝심 있게 밀고 나갈만한 방향성도 잡아야 하니까 내가 원하는 직장에서 나를 받아줄 때까지 몇 년이고 기다려야 할까? 첫 직장이 중요하다고 하는 말의 이면에는 알아주는 대기업이나 번듯한 공사를 첫 직장으로 삼지 못하면 앞으로의 이직 생활이 별 볼 일 없을 거라는 의식이 알게 모르게 깔려있는 것이 아닐까?

 



 그럼 일단 이직을 고려해서라도 첫 직장이 갖는 중요성을 무시할 수는 없으므로 남들 보기에도 좋고 처우도 좋은 직장에 처음으로 입사하게 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마음을 먹었다고 해서 바로 입사할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물론 이 과정에서 내가 평생을 업으로 삼고 싶은 직무에 배치되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손꼽히는 좋은 직장에서 내가 원하는 직무에 배치될 확률은 매우 희박하다. 나는 이 지점이 모순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평생직장'에 대한 불신과 더불어 커리어 패스에 대한 열망이 강해지면서 우리는 첫 직장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다음 직장을 생각해보아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우리는 첫 직장의 중요성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스스로에 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 일단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것에 열을 올린다. 첫 단추를 일단 좋은 직장으로 꿰매기만 한다면 나머지 커리어 패스는 차차 생각해도 괜찮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아무 생각 없이 곧장 뛰어든 직장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길을 발견하는 것이 쉬울까? 그래서 어렵게 들어간 회사를 1년 내에 그만두고 뛰쳐나오는 신입사원들이 많은 것이다. 맞지 않는 옷을 꾸역꾸역 입고 다녔던 지난날을 돌이켜본다면, 퇴사한 사람들이 같은 직종, 같은 직무에 다시 도전하는 경우보다 다른 업무에 도전해보는 경우가 더 많지 않을까? 만약 그렇다면, 여기서 커리어의 일관성이 무너지는 것이다.

 


 첫 직장이 중요하다는 말과, 커리어의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말이 절대적으로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구구절절 쓴 게 아니다. 현실적으로도 대기업에서 이직을 하려는 사람들이 보다 더 쉽게 이직에 성공하고, 커리어의 일관성을 가진 사람들이 개인의 전문성을 키우는 데에 더 많은 이점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일견 수긍이 가지만 그 말이 절대적으로 옳은 것도 아님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마치 첫 직장이 듣도 보도 못한 회사라면, 2년 3년 이곳 저곳 들쑤시고 다니는 커리어라면 앞으로의 인생도 보잘 것 없을 것처럼 치부하는 게 싫다. 첫 직장이 좋은 직장이 아닐 수도 있고, 커리어에 일관성이 없어도 괜찮지 않을까? 많은 사람들이 스티브 잡스의 Connecting dot 개념을 직업에도 연관 지어 생각한다면 우리가 이렇게까지 겁먹으면서 살 필요가 없어지지 않을까.



더보기

Jane Gray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