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오늘은 될 놈에 대해서 이야기하려 한다.
얼마 전 자소서 관련해서 쓴 글에서
한 독자가 자소서를 잘 써도

어차피 될 놈만 된다고 댓글을 단 것을 보았다.


그래서 오늘은 그 될 놈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려 한다.


--------


될 놈들은 진짜 뭘 해도 된다.
안될 놈은 어중간한 회사 100개를 써도
다 떨어지고,
될 놈은 붙기 어려운 회사 3개만 써도 다 붙는다.


왜 그럴까?


[간단 명료]
우선 자소서나 면접에서 의견을 개진할 때
될 놈들의 말은 간단 명료하다.
불필요한 말이나
내용을 억지로 늘리려는 말은 하지 않는다.
명료하다 보니 인사담당자 입장에서는
자소서 읽기가 수월하고
면접 시, 질문에 대한 답변도 듣기가 편하다.


안될 놈들은 말이 길고 두서가 없다.
말은 많은데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하기가 어렵고,
듣다가 정신이 혼미해 진다.


[구체적인 목표]
될 놈들의 포부는 구체적이다.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와  직무에 대해
구체적인 목표를 말한다.
어떤 질문을 해도 추상적인 대답은 하지 않는다.
하고 싶은 분야를 명확하게 이야기하고,
그간 노력했던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한다.
구체적인 목표가 있고 구체적으로 노력했기에
핵심적인 말만 간단 명료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그 구체적인 목표는
현업 담당자가 보기에
현실과 안 맞긴 하지만 말이다.


안될 놈들은 모든 게 다 추상적이다.
구체적으로 아무리 물어봐도
생각해 본 적이 없기에
추상적으로만 말하게 된다.


[일관성]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이 있기에
될 놈들의 말에는 일관성이 있다.
어떤 질문을 해도
비슷한 기준의 대답을 한다.
그만큼 해당 내용에 대해
많이 생각해 봤다는 말이다.


안될 놈들은 질문 하나하나에 급급하다보니
일관성 없는 땜빵용 말들만 내뱉게 된다.


[여유로움]
이들은 명확하게 하고 싶은 게 있기에
필요한 말만 명료하게 할 수 있고,
그렇기에 여유가 있다.
긴장을 아예 안 할 수는 없겠지만
머릿속에 구체적인 목표와 생각이 있기에
어떤 질문이 들어와도 멘틀이 붕괴되지 않는다.


안될 놈들은 긴장이 심해서
평소 실력도 내지 못한다.
심지어 당황해서 우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경험]
될 놈들은 다양한 경험을 했다.
안될 놈의 다양한 경험과는 큰 차이점이 있다.
될 놈들은 특정 분야 안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지만


안될 놈들은 사방팔방 연관성 없는
다양한 경험을 한다.
그리곤 다양한 경험한 것을 자랑스럽게 답한다.


[깔끔함]
될 놈들은 깔끔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얼굴이 귀티 나거나 깔끔한 게 아니다.
비싼 옷을 입거나 패셔너블한 것도 아니다.
다만 헤어부터 신발, 화장부터 미소까지 단정하다.
단정하고, 밝은 이미지만 준비해도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안될 놈들은 이력서 사진부터 뿌렿고 흐리다.
너무나 뽀샵이 심해서 코가 안보이는 경우도 있다.


--------------


간단하게 중요한 것들만 요약하면
될 놈들은
업무 관련 지식(정보)이 있고,
업무 관련 역량(가능성)이 있고
업무 관련 리더십(자기주도성)이 있으며,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부모 잘 만난 금수저들의 경우,
청탁으로 인한 합격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될 놈들은 그 경우에만 국한된 건 아니다.
성실하고 철저하게 준비한다면
누구든 될 놈이 될 수 있다.


당신은 될 놈의 요소를 갖추고 있는가?


더보기

강선생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